악취 등 피해 인천만 감수 1천400억 드는 대체 시설 道·서울과 공동부담 부당
수도권 쓰레기매립지 골프장 운영권을 놓고 인천시와 환경부 등이 갈등(본보 22일자 7면·25일자 1면)을 빚는 가운데 매립지 내에 있는 하수슬러지 처리시설이 새로운 쟁점이 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25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매립지 내 하수슬러지 고형화 시설을 폐쇄하고 1천400억원을 들여 대체 시설을 조성키로 했다. 이에 따라 환경부와 서울시, 경기도,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인천시가 예산분담 등을 논의하고 있다.
기존 시설은 인천지역 9개 하수처리시설과 서울, 경기 지역 일부 하수처리시설에서 발생한 슬러지를 처리하고 있으나 지난 1998년에 설치된 재래식 시설이기 때문에 악취가 매우 심하고, 시설도 노후화됐다.
특히 인근 300m 거리에 2014 인천 아시아경기대회 승마장 건설공사가 진행되고 있어 냄새에 민감한 말이 하수 악취가 발생할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 또 가까운 거리에 경인아라뱃길 등이 있는 터라 대체시설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이에 따라 서울시와 경기도, 인천시는 하수 반입비율에 따라 각각 490억원, 770억원, 140억원을 분담하고 환경부가 관련법에 따라 경기도에 539억원(사업비 70%), 인천시에 42억원(사업비 30%)을 국고로 지원하기로 했다. 결과적으로 서울시는 490억원, 경기도는 231억원, 인천시는 98억원을 분담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인천시가 혐오시설인 하수처리시설을 인천지역에 설치하고 악취 등으로 인한 피해를 고스란히 인천시민이 감수해야 하는 상황에서 하수반입 비율로 예산을 분담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의견을 제기했다.
시는 최근 서울시가 경인아라뱃길 부지 매각대금 1천35억원을 수도권매립지 주변환경 개선 재투자 기금으로 조성키로 한 만큼 인천시 예산 분담금은 이 기금으로 충당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하수처리시설을 인천에 두고 모든 피해를 감수하고 있는데 서울, 경기도와 동등한 상황에서 예산을 부담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본다”며 “환경부와 3개 시·도가 논의하는 단계”라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