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급한 불끄기’ 수매비축 대안에 농가 ‘분통’ 재입식자금 이자율 완화 등 ‘실효성’ 있는 대책 촉구
돼지고기 가격이 급락하면서 경기지역 양돈농가가 구제역 재입식자금 이자율 완화와 돼지고기 소비 촉진 등 실효성 있는 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25일 양돈업계에 따르면 현재 돼지고기 도매가는 1㎏당 2천822원으로 최근 5년 이래 가장 폭락 시세를 보여 연초 5천897원에 비해 반토막도 안 되는 수준이다.
이처럼 돼지고기 값이 끝없이 내려가자 농림수산식품부는 최대 3만6천마리 물량을 3개월 동안 비축하기로 했다. 또 출산 능력이 떨어지는 어미돼지 8만마리를 도축하고, 국내산 육가공 원료육 사용 비중도 확대하며 사료대금을 지원하는 등 기존 돼지고기 안정 대책도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하지만 도내 양돈농가들은 이에 대해 ‘언 발에 오줌누기’식의 실효성 없는 대책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비축된 물량을 나중에 다시 풀 경우 가격 하락이 반복될 뿐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용인의 양돈농 박모씨(62)는 “양돈농가들이 그렇게 반대를 해도 정부는 기어이 무관세 삼겹살을 수입하면서 강제로 가격을 내리더니 이제 와서 조삼모사식의 수매비축을 대책이라고 내놓았다”며 “사료대금 지원도 길게 보면 농가의 빚만 늘리는 꼴”이라고 불만을 터트렸다.
이와 관련, 대한한돈협회 경기도협의회와 도내 양돈농가들은 최근 경기도 관계자와 간담회를 갖고 향후 무관세 수입중단과 함께 구제역 피해농가에 지원된 재입식자금의 이자를 낮춰 농가 부담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현재 30%를 웃도는 대형유통점 돼지고기 판매수수료를 인하하는 등 유통구조의 개선도 필수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경기도 농가에서 생산된 돼지의 출하적체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G마크 브랜드업체의 돼지추가 구매와 함께 도내 학교와 대기업에 대한 단체 급식 확대 방안도 조속히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