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제6대 안산시의회가 개원하던 날 시의회 본회의장에서 시민을 대신, 집행부를 감시하고 견제해 달라며 선택해준 시민들의 앞에서 시의원에 당선된 의원들이 선언한 ‘안산시의회 의원 윤리강령’이다.
그러나 시의원들의 그때의 초심을 잃은 채 의원들이 의정활동을 벌이면서 빚어진 입장 및 견해 차이가 폭언 등의 사건으로까지 이어지면서 시의회의 위상 실추는 물론 자신을 선택해준 시민들을 실망시키고 있다.
안산시의회는 지난 1일 예결특위에서 의원간에 견해 차이를 보이며 불거진 부적절한 언행이 ‘윤리특별위원회’를 구성하기에 이르는 등 구설수를 타고 있다. 이는 안산시의회가 출범한 이래 초유의 사태로 시민의 입장을 대변하기 위한 대의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지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안산시의회는 의원간의 폭언 사태로 진흘탕이 된 상황에서도 당초 의정활동비를 인상하려 했던 것으로 알려져, 시민의 입장을 대변하겠다던 시의원들이 밥그릇 챙기기에 급급했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결국 시의회는 4차에 걸친 의견 조율 끝에 의정활동비 동결이란 카드를 꺼냈지만 이처럼 시의회가 혼란속에서 흔들리고 있는 상황에서도 단 한푼의 의정비라도 더 챙기려 한 것은 시민의 기대를 저버리는 행위로 밖에 볼 수 없다.
이번 사태를 불러온 두 의원은 신성한 의회 내에서 폭언을 주고 받았다는 주장이 제기돼 시민들은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으며 그들의 태도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제 두 의원에 대한 진실공방은 오는 12월31일까지 활동에 들어간 윤리특위에서 가려질 수 있을지 모르지만 진실이 외면 당하고 있는 이런 현실에서 같은 솥밥을 먹고 있는 시의원들이 그들의 진실을 제대로 가려낼 수 있을지에 의문이 든다. 시의회가 시민들 앞에서 떳떳해지기 위해서는 한치의 거짓 없는 진실을 밝혀야 할 것이며 그같은 결과를 통해 시민들이 받은 상처를 치유해야 할 것이다. 만일 진실이 아닌 거짓 결과로 현 상황을 모면하려고만 한다면 시민들은 시의회에 등을 돌릴고 말지도 모른다.
이를 사전에 막기위한 해답은 의원들 스스로가 더 잘 알것이다.
안산주재 구재원 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