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구조개편 이후 효율성 문제 지적 ‘구조조정’ 불가피 비상임이사떮임직원 감축… 경영생산성 높이기 특단조치
올해 초 사업구조개편을 단행한 농협중앙회가 후속 조치로 조직 ‘슬림화’에 나선다.
경기불황이 내년에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는데다 국정감사 등 내ㆍ외부에서 사업구조개편 이후 조직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등 구조조정 압박이 거세졌기 때문이다.
21일 농협과 농수산업계 등에 따르면 농협중앙회는 이달 말 각 지주회사와 계열사의 이사회를 열어 임직원 수를 감축하고 조직을 개편하는 안을 결정키로 했다.
농협중앙회는 올해 초 경제지주와 금융지주로 분리(신경분리)하면서 임원 수가 82명으로 늘었다.
중앙회와 각 계열사 직원을 모두 합치면 2만명에 달한다.
농협은 경제위기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자 비대한 조직으로는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82명인 농협 임원 수는 최대 10%가량 줄어들 전망이며 ‘고액 연봉’이라는 비판을 받았던 비상임이사(25명)도 내년에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정년을 앞둔 직원들로 한정했던 희망퇴직은 근속연수 제한을 낮춰 대상을 확대하기로 해 사실상 직원 수도 줄이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시중은행 중에서도 생산성이 하위권에 속하는 NH농협은행 등의 경영 효율성을 끌어올리기 위한 자구책으로 분석된다.
농협은 사업구조개편으로 유통과 금융 두 분야에서 치열한 경쟁이 예고되는 상황에서 중앙회와 금융지주 등의 본부 인력은 상당수를 영업현장에 배치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또 재충전 휴가의 의무 사용이나 상여금의 실질적인 축소 등 예산을 줄이는 방안도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농수산업계 한 관계자는 “민간 금융기관이나 유통업체 등과의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한 만큼 농협의 조직 슬림화와 경영 효율화는 당연한 수순”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농협 관계자는 “아직 각 지주사 이사회에서 관련 내용을 확정하기 전”이라며 “조직을 효율적으로 재편하는 방향으로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말했다.
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