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차 독자권익위원회]대선정국, 정치에 밀려 민생문제 소홀함 없어야

본보 제8차 독자권익위원회

경기일보 독자권익위원회(위원장 전봉학)는 28일 경기일보 1층 회의실에서 2012 제8차 독자권익위원회를 갖고, 지면에 반영된 기사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내며 토론을 벌였다.

우선 위원들은 지난 19일 1면 ‘대선 공약에 1천200만 경기도 없다’는 기사는 실제 유권자가 가장 많은 경기도가 타지역보다 오히려 소외되고 있는 현실을 잘 반영했으며, 앞으로 이를 더욱 이슈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냈다.

또 지난 21일 전남 고흥에서 조손가정의 할머니와 손자가 전기가 끊겨 촛불을 켜놓고 자다 화재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한 것에 맞춰, 경기도 내 단전 가구의 안타까운 사연을 담은 기사는 시의에 적절하면서도 구구절절한 사연이 잘 소개됐다고 평했다.

다만, 이같이 도내에 1천 가구가 넘게 단전가구가 있는 현실에 대한 대안 제시가 없었던 것은 아쉽다고 덧붙였다.

지속적으로 다룬 생태통로 기사는 아이템이 참신했으며, 중앙지에서도 이를 다루는 등 관심이 높았고 적절한 대안 제시까지 이뤄진 기사라고 평가했다.

단전가구ㆍ생태통로 보도 돋보여

모호한 지면배치 기준 재정립 필요

이와 함께 얼마 남지 않은 대통령 선거의 여파로 국민적 관심이 정치 쪽으로 쏠리겠지만, 이로 인해 지면에 민생 문제가 덮이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지난 19일 자 10면에 게재된 과천청사 이전으로 인한 지역상권이 무너진다는 기사는 문제가 되는 현상을 시의적절하게 잘 다뤘지만, 대안에 대한 고민도 함께 반영됐으면 하는 아쉬움을 표현했다.

이에 반해 지난 22일 5면의 고양시장의 시정현안 발표 기사는 과연 어떤 의미가 있는지, 기사적 가치 면에서 의문이 든다고 비판했다.

또 지난달 18일 21면에 나온 ‘탱크의 꿈 여주에 도서관 건립 기사’는 과연 체육면에 싣는 게 맞는지, 지면배치 기준을 정립할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명관기자 mklee@kyeonggi.com

사진=추상철기자 scchoo@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