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연기되었던 서비스업 적합업종에 대해 소상공인단체가 동반성장위원회의 조속한 결정을 촉구하고 나섰다.
8일 대한제과협회 등 소상공인 7개 단체 100여명은 오전 11시 중소기업중앙회 2층에서 동반성장위원회의 서비스업 적합업종의 조속한 지정을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김경배 (사)전국소상공인단체연합회 회장은 “제조업은 234개 품목 신청 및 적합업종 지정기간이 7개월 밖에 소요되지 않은데 비해, 서비스업은 신청품목이 43개에 불과하고 적합업종 지정을 추진한지 1년이 지났음에도 성과가 없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며 “소상공인들의 생존권 확보를 위해 동반위의 신속한 지정을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중소기업 적합업종에 지정되면 해당 업종에 대기업의 진출이 제한되고, 이미 진출한 대기업은 사업확장 자제 등을 요구 받는다.
동반위는 지난해 12월27일 제과점업 등 27개 서비스업에 대한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었으나,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합의 조정에 시간이 좀 더 필요하다고 판단해 한 달 정도 연기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