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23일 북한이 한반도 비핵화 포기를 선언하고 핵실험 가능성을 보인 것과 관련, 추가적인 위험을 초래하는 북한의 행위를 강하게 비판했다.
새누리당 이상일 대변인은 “북한은 유엔 안보리 결의에 담긴 국제사회의 확고한 의지를 엄중하게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북한 당국이 유엔의 경고를 무시하고 잘못된 길을 계속 가는 한 북한은 고립에서 탈피하지 못할 것이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어 “유엔 안보리 결의는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을 결코 용납할 수 없다는 국제사회의 단호한 입장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것”이라며 “그럼에도, 북한 당국이 제3차 핵실험 가능성을 시사하며 북한의 비핵화를 거부하는 태도를 보인 데 대해 개탄하지 않을 수 없다”라고 비난했다.
그는 특히 “북한이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대접을 받으려면 유엔 안보리의 제재 조치를 즉각 수용해야 할 것”이라면서 “탄도미사일과 관련한 모든 활동을 중단해야 하고, 핵무기 개발과 관련한 모든 프로그램도 폐기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민주통합당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도 이날 확대간부회의를 열고 “추가적 위험을 초래하는 북한의 행위에 대해서는 강력히 반대한다”라며 “북한은 새롭게 출발하는 한국과 미국 정부와의 대화를 통해서 한반도와 동북아지역의 평화안전에 협력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문 비대위원장은 이어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도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보다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조치를 위해 노력해 주길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박용진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을 통해 “북한이 지금 취해야 할 태도는 긴장과 충돌을 각오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과 미국 정부와의 대화를 통해서 한반도와 동북아지역의 평화안전에 협력하는 것”이라며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은 민족적 약속”이라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이어 “이럴 때일수록 남북 간의 대화가 중요하다”라며 “우리 정부가 평화교류협력과 남북대화를 통해 북핵문제와 북미대화의 주도권을 형성해 나가길 기대한다”라고 덧붙였다.
진보정의당 이정미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6자회담과 9.19 공동성명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보장이라는 동시타결의 길을 여는 출구였다”라며 “북한이 앞으로는 한반도 평화를 위한 논의만 있을 뿐, 비핵화를 위한 대화는 없을 것이라고 입장을 밝힌 것은 유감”이라고 말했다.
강해인ㆍ김재민기자 hik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