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자동차매매조합 ‘진정서’
수원지역 중고차매매상이 차량등록사업소 인력부족 등의 문제로 이전등록이 반나절 가량 소요되는 등 업무차질을 빚고 있다며 관계기관에 서명부와 진정서를 제출하는 등 업무개선을 요구하고 나섰다.
경기자동차매매사업조합 수원지부는 27일 수원시 차량등록사업소에 하루 평균 550건, 한달 1만1천건의 이전등록 수요가 발생하고 있지만 행정인력은 고작 9명에 불과해 통상 20∼30분 걸리는 업무가 반나절 이상 소요되는 등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게다가 당사자 거래와 사업자 거래 업무를 담당하는 인력이 따로 배치돼 있어 업무 효율성이 떨어지는 데다 수원보다 등록 수요가 적은 용인이나 안양 등 타 지역의 경우 구청 단위에도 차량등록사업소가 설치된 것과는 달리 수원은 시청에만 설치돼 있어 형평성에도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용인의 경우 수원보다 4분의 1가량 적은 38개 중고차 매매상이 영업을 하고 있지만 3개 구청 모두에 차량등록팀이 파견돼 등록소요 시간이 30∼40분이 채 안된다는 게 수원지역 중고차 매매상들의 주장이다.
하루 평균 550건ㆍ月 1만1천건
도내 43% 차지 ‘거대시장’에도
타지역과 달리 ‘시청’서만 업무
행정 미숙ㆍ지연 ‘민원’ 빗발쳐
이 같은 문제에 따라 수원 지역 140개 회원사로 구성된 경기자동차매매조합 수원지부는 지난 12월 10일부터 28일까지 18일간 종사원 1천500여명 서명을 첨부해 수원시장과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진정서와 건의서를 제출했다.
이수진 경기자동차매매사업조합 수원지부장은 “수원지역 중고차시장은 도내 43%, 전국 15%의 점유율을 차지할 정도로 거대한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면서 “이를 통해 수원지역 세수 증대는 물론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지만 미숙한 행정 처리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 지부장은 이어 “등록업무 분산 차원에서 각 구청별로 등록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증설과 함께 행정인력 증원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수원시청은 차량등록업무와 관련된 불편사항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있지만 행정여건 상 대폭적인 인력 증원은 힘들다는 입장이다.
수원시청 자치행정과 관계자는 “행정안전부 등에 특수한 행정 수요에 대한 인력 확충 요구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어 2∼3명가량 증원 가능성은 열려있지만 현재로서는 검토 중인 단계”라며 “구청별 분산처리와 업무 개선 요구에 대해 매매상과 협의해 최대한 수용하는 쪽으로 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