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대책委 “마을버스 노선 수요자 중심 개편 환영” 일부 시의원 “과도한 예산에 세금먹는 하마 전락 우려”
구리시가 버스공영제 도입 등 마을버스 운영개선 추진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가운데 버스공영제 도입 찬·반 논란이 일고 있다.
27일 구리시 등에 따르면 최근 시는 건설도시국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교통안전공단·경기도마을버스조합 관계자, 시민대표 등 7명을 위원으로 하는 T/F팀 위원회를 개최하는 등 버스공영제 도입 등 마을버스 운영개선 추진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
시는 지자체가 마을버스 노선을 관리하고 버스업체는 위탁받은 노선 버스를 운행해 마을버스 노선 체계를 합리적으로 개편, 수요자 중심으로 노선을 변경해 서비스 향상 등을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해 통합진보당과 마을버스 요금인하 버스공영제 실현을 위한 구리시민대책위원회는 적극 찬성한다는 입장이다. 이들은 구리지역 곳곳에 요금인하, 장애우 및 어르신 무료, 취약노선 신설 등 마을버스 공영제의 효과 등을 알리는 현수막을 내걸고 버스공영제 도입의 필요성을 집중 홍보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구리시의회 의원들은 버스공영제 도입 시기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버스공영제 도입에 반대하고 있다. 버스공영제를 반대하는 한 시의원은 “잘못된 판단으로 버스공영제를 잘못 도입해 과도한 예산이 소요될 경우 ‘세금 먹는 하마’로 전락할 수 있다”면서 “가뜩이나 어려운 지방재정을 압박하고 자칫 특혜 논란도 불거질 수 있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일단 오는 6월 말까지 위원회를 운영하고 필요하다면 마을버스 공영화 사업 타당성 연구와 공영화 방법·시기, 재원확보, 관련제도 개선 등을 담은 버스공영제 연구 용역을 의뢰하는 등 제반 절차를 밟을 예정”이라며 “벌써부터 찬반 논란이 불거지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구리=한종화기자 hanjh@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