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엔 엔화 절하와 유럽발 금융 위기로 우리 경제가 더욱 몸살을 앓고 있다. 청소년 실업, 구조조정, 고령화, 양극화 등 우리가 안고 있는 사회적 문제는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이 때 가장 힘들어 할 사람들은 누구일까? 일자리와 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인 장애인, 소년소녀 가장, 독거노인, 새터민, 다문화 이주여성 등 소위 취약계층이 아닐까.
이러한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의 하나가 바로 사회적 기업이다. 사회적 기업은 취약계층에게 일자리와 사회적 서비스를 비즈니스 사업을 통해 제공하는 기업을 말한다. 사회적 기업은 2007년 사회기업육성법 제정 이 후 정부시책에 힘입어 양적으로 크게 성장했다.
2012년 말 기준 인증기업은 전국 774개, 종사자도 2만여명에 이른다. 하지만 질적으로 보면 매우 열악하다. 2011년 말 기준 영업이익을 내는 기업은 14%에 불과하고 3년의 한시적 인건비 지원이 종료된 경우 경영악화로 인한 폐업도 늘고 있다. 사회적 기업이 잘 성장할 수 있도록 보다 기름진 토양을 만들 수는 없을까?
첫째 사회적 기업 지원은 인건비 보조가 핵심이다. 사회적 기업은 엄연한 기업으로 일반기업과 경쟁해야 한다. 그런데 CEO가 아무리 사명감이 투철하고 사업수완이 뛰어나더라도 능력이 뒤진 취약계층을 데리고 일반기업과 경쟁하기란 불가능하다.
정부의 인건비 지원이 반드시 뒷받침 되어야 하는 이유이다. 물론 정부의 재정여건을 감안해야 하고 과중한 정부의존은 경계해야 한다. 하지만 인건비 지원은 고용하고 있는 취약계층의 능력과 조건 등을 고려하되 한시적이어서는 안 된다.
둘째 ‘착한 소비’가 함께 가야 한다. 소비자는 가격과 품질에 따라 구매를 결정한다. 그러나 제품에 담긴 사회적 가치, 예를 들어 사회적 약자보호, 지역사회공헌, 환경보호 등의 가치가 내재돼 있다면 가격이 좀 비싸더라도 기꺼이 착한 소비할 마음을 갖고 있다.
문제는 사회적 기업과 사회적 가치가 담긴 제품에 대한 정보가 별로 없다는 데 있다. 게다가 사회적 기업 제품의 유통체계가 발달되지 않아 일상에서의 구매마저 용이하지 않다. 이제 사회적 기업을 널리 알려야 하고 이들 제품에 대한 착한 소비의 가치를 체계적으로 교육, 홍보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사회적 기업 제품의 대형슈퍼 입점이나 착한 소비 포인트제, 소득세 감면 등의 인센티브를 통해 착한 소비를 장려해 가야 한다.
셋째 사회적 기업 제품인증 시스템 구축이다. 소비자에게 착한 소비를 무조건 강요할 수는 없다. 일단 품질과 가격이 기대수준에 부합해야 한다. 품질에 신뢰도 뒤따라야 한다. 사회적 제품 구매를 망설이는 많은 경우 품질에 대한 신뢰 부족 때문이다. 믿을만한 제품인증 시스템을 갖출 경우 착한 소비를 촉진하고 일반기업이나 개인 독지가의 기부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일반기업과의 유기적 연계 협력이다. 기업에 대한 사회적 책임이 날로 강조되고 있다. 기업은 생존을 위해서라도 사회적 책임을 늘려가야 한다. 실제 많은 기업들이 착한 기업의 이미지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취약계층을 행복하게 하는 사회적 기업을 모두 함께 적극 육성하자.
문 유 현 경기테크노파크원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