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화해 ‘최후의 보루’ ‘정경분리 원칙’ 지키는 정부 강한의지 보여줘야
인천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모든 방법을 강구해 개성공단으로 들어가 사태해결을 촉구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인천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9일 송영길 인천시장과 간담회를 열고 조속한 개성공단 정상화에 힘을 보태줄 것을 촉구했다. 박창수(창신금속) 인천 개성공단 입주기업협의회장은 이날 자리에서 “이번 사태는 개성공단의 소중함을 일깨워주는 기회이기도 하다”며 “영세 중소기업이 남북관계를 이어가는 데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 깨달아야 한다”고 말했다.
입주기업들은 또 개성공단의 안정화를 꾀하려면 정경분리 원칙을 지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유동옥 대화연료펌프 회장은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 등 집권여당과 만난 자리에서 개성공단이 남북관계에 따라 위협을 받지 않도록 정경분리 원칙을 지켜야 한다는 의견을 전달했다”며 “개성공단에 입주기업 대표들이 직접 들어가 하루빨리 정상화 방안을 찾는 방법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유 대표는 특히 “개성공단은 금강산 관광과는 달리 살아 있는 유기체와 마찬가지여서 열흘이고 한 달이고 기다렸다 정상화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며 “개성공단은 어떤 남북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정부의 강한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또 개성공단이 하루속히 정상화되지 않으면 개성공단의 모든 거래처를 잃게 되는 것뿐만 아니라 기업으로서 최소한의 신뢰마저 무너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와 관련, 송 시장은 “이번 일을 통해서 개성공단은 남북이 서로 도움되는 구조라는 것이 확실해졌다. 개성공단 정상화가 일방적으로 북한에 퍼주기라는 인식을 철저히 깨뜨린 것이다”라며 “개성공단은 남북관계를 만드는 인큐베이터로서 정경분리 원칙에 따라 안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송 시장은 또 “중앙정부나 언론이 모두 민감한 남북관계에 대해서 가정이나 추측을 기반으로 언급하면 사태를 더 나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개성공단에 입주한 인천지역 업체는 모두 15곳으로 남측 근로자 800여 명이 개성공단에 상주하거나 남한을 오가면서 근무하고 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