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관부처 北과 협의방향 구체화 작업 착수… 남북관계 개선 등 선결과제 산적
박근혜 대통령이 미국 의회 연설에서 밝힌 비무장지대(DMZ) 세계평화공원 조성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정부가 구체적인 추진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정부 당국자는 12일 “평화공원 조성 계획 실현을 위해 유관부처들이 협의 중”이라며 “선결 과제인 북한과의 협의에서 제시할 방안 마련을 놓고 내부에서 구체화 작업을 벌이는 단계”라고 말했다.
범정부 추진체에 참여할 부처로는 북한과의 협의를 맡을 통일부와 군사 실무 협의를 담당할 국방부, 공원 조성 계획을 수립할 국토교통부와 환경부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정부 기관 외에도 그동안 DMZ의 평화적 활용 사업을 추진해 온 민간단체를 참여시켜 아이디어와 노하우를 흡수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박 대통령이 지난해 대선 때부터 공약한 사안에 대해 한층 진전된 구상을 밝힌 것인 만큼, 내주부터는 방미를 마친 청와대를 사령탑으로 각 부처 관계자들이 모여 머리를 맞대고 실무 협의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도 지난 10일 정례브리핑에서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 문제와 관련, “남북 간 긴장완화와 평화정착, 신뢰 형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공원 조성을 위해 유엔 등과 협의해 가며 구체적인 실현 방안에 대해선 범정부적으로 검토하고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경기도 차원의 DMZ 세계평화공원을 유치하기 위한 움직임도 가시화될 것으로 보인다. 도는 박 대통령이 후보자 시절, 경기북부활성화 차원에서 DMZ 한반도 생태평화벨트 조성 등을 약속했다는 점에 기대를 걸고 있다.
하지만 현재 남북관계 경색 국면이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는 만큼 평화공원 조성 사업이 곧바로 실행에 옮겨지지는 않을 전망이다. 정부는 평화공원 조성 사업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큰 틀에서 남북관계 개선이 반드시 선행돼야 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와 함께 세계 최고의 군사 긴장 지역인 DMZ를 북한이 말 그대로 ‘비무장화’하도록 설득하는 것도 어려운 일인데다 정전협정에 따라 DMZ를 관리해 온 유엔사령부의 승인도 필요한 상태다.
강해인기자 hikna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