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대통령 “원부자재·완제품 반출 문제 논의” 지시… 장소는 판문점 ‘평화의 집’ 제의
정부가 개성공단 현지에 보관 중인 우리 측 입주기업의 원부자재와 완제품 반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남북 당국 간 실무회담 개최를 북한에 제안했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14일 정부청사에서 성명을 통해 이같이 북한 측에 회담을 공식 제안했다.
김 대변인은 “우리 측은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 등을 포함한 3명의 회담대표가 나갈 것”이라면서 “북측도 중앙특구개발지도 총국장 등의 회담대표가 나올 것을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정부는 회담 장소로 판문점 우리 측 지역인 ‘평화의 집’을 제안했다.
정부의 이 같은 제안은 박근혜 대통령이 개성공단 완제품 반출과 관련해 북한에 회담을 제의하라고 통일부에 지시한 데 따른 것이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통해 “우리 기업들이 개성공단에 두고 온 완제품이나 원·부자재들을 하루빨리 반출해 기업들의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통일부는 북한 측에 이와 관련된 회담을 제의하기 바란다”라고 말했다.
정부가 개성공단 완제품 및 원부자재 반출을 위한 회담을 북한 측에 제의함에 따라 새 정부 들어 3번째 북한에 대한 회담 제의가 됐다.
박 대통령은 이어 “우선적으로 투자 기업의 실망이 크다”라며 “북한이 국제사회와 한 약속, 개혁을 위해서는 안전장치가 보장돼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어제로 개성공단에서 우리 근무자들이 전원 철수한 지 열흘이 지났다”라며 “북한이 각종 계약 등 약속을 지키지 않고 식자재 반입마저 막아 철수하게 된 것을 정말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라고 우려했다.
이어 박 대통령은 “우리가 바라는 것은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이고 남북한 주민의 번영과 행복한 통일이다”라며 “개성공단도 단순한 정상화가 아니라 국제화를 위한 혁신적 변화가 필요하고 그러려면 북한이 국제사회와 한 약속, 개혁을 위해서는 안전장치가 보장돼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처럼 다시 정부가 대화를 제의한 것은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완제품, 원부자재 반출 문제를 일단 논의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하지만, 이번 대화 제의에 북한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는 불투명하다.
이미 그동안 두 차례의 대화 제의 때와 주변 상황이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는 점에서 북한이 회담을 거부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는 분석이다.
강해인기자 hik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