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양호 농촌진흥청장 “농진청, 경기도 떠나도 지역사업은 계속”

“농촌진흥청이 이전한 뒤에도 수도권지역의 농촌진흥사업이 차질없이 진행되도록 하겠습니다.” 취임 두달째를 맞은 이양호 농촌진흥청장은 16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농진청이 내년부터 차례로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함에 따라 수도권 농업연구 기능이 약화될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농진청은 중부 및 북부지역의 농업연구를 총괄하는 (가칭)중부농업연구소를 설치해 기존 잔류 시설과 부지를 최대한 활용할 계획이다. 잔류인원은 83명, 잔류부지 86만5천㎡, 잔류시설 5만4천㎡ 가량이 될 전망이다.

이 청장은 “농업유전자원 중복보존을 위한 저장시설과 식물공장 관리기능을 포함해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또한 경기도농업기술원이 (구)서울대 농생대부지로 내년 말 이전하게 되면 중부농업연구소와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이 청장은 “개방화, 고령화, 기후변화 등 우리 농업·농촌이 어느 때보다 어려운 시기에 취임하게 돼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며 “위기를 타개하고 새정부 국정과제인 창조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6차 산업 활성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우리 농업을 생산, 가공, 유통, 체험관광 등이 결합된 6차 산업화해 농가소득을 높이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도록 하겠다는 설명이다.

전북혁신도시 이전 따른 ‘수도권 우려’ 불식

농업 위기 타개… 6차산업 활성화 중점추진

“현장ㆍ실용연구 강화해 농민ㆍ농가 보탬될 것”

그는 “얼마 전 방문한 화성 아이포크의 발효생햄이나 청양 알프스마을의 얼음 축제는 6차 산업화의 좋은 사례”라며 “이러한 농가들이 더 많아질 수 있도록 현장에서 필요한 연구들을 수행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 청장은 “고급인력들이 농진청에 많이 있지만 정작 무엇을 연구하는지 잘 모르겠다는 외부의 비난도 있는 것으로 안다”며 “그만큼 농민들이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술개발이 부족한 측면이 있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현장의 애로가 해소되지 않는다면 농진청의 존립 이유가 없는 것”이라며 “현장·실용연구를 강화하고 현장과 실험실과의 격차 해소에 중점을 두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어 이 청장은 “농진청은 70년대에 통일벼를 개발해 보릿고개를 해소하고 녹색혁명을 이룬 경험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며 “우리 농업이 다시 한번 세계속에 우뚝 설 수 있도록 종자산업과 바이오 신약 개발 등을 강화해 21세기 녹색혁명을 성취하겠다”고 강조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