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회담 끝내 무산 수석대표 놓고 이견 못 좁혀
남북이 11일 당국회담 수석대표단 구성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함에 따라 12일 열릴 예정이었던 회담이 무산됐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저녁 긴급 브리핑에서 “북측이 우리 수석대표의 급을 문제삼으면서 북측 대표단의 파견을 보류한다고 일방적으로 통보해 왔다”고 회담 무산 사실을 밝혔다.
우리측은 수석대표로 김남식 통일부 차관을, 북측은 강지영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서기국 국장을 각각 선정해 통보했다.
하루 앞으로 다가온 회담이 수석대표 급 문제로 전격 무산됨에 따라 남북간에 앞으로 치열한 책임공방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서울에서 열릴 당국회담이 일단 무산됐지만 남북 모두 대화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타협이 조만간 이뤄져 회담 개최에 다시 합의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양측은 이날 오후 1시께 판문점 연락관을 통해 각 5명의 대표단 명단을 교환했지만 북측은 우리측이 제시한 수석대표에 대해 이의를 제기, 양측간 전화 협의가 계속돼 왔다.
정부 당국자는 “남북 양측 모두 원래 제시한 수석대표를 고수하며 수정제의를 하지 않으면서 맞서 12일 회담이 무산됐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김 대변인은 “9일부터 10일까지 실무접촉 이후 우리측은 북측에 대해 당장 명단을 알려달라고 수차례 요구했지만 북측은 명단의 동시교환을 고집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북측은 우리측이 수석대표를 차관급으로 교체한 것은 남북당국회담에 대한 우롱이고 실무접촉에 대한 왜곡으로서 엄중한 도발로 간주하고 북측 대표단 파견보류한다면서 무산 책임은 전적으로 우리 당국에 있다고 통보했다”고 전했다.
그는 “정부는 북한의 이런 입장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면서 “남북 문제를 책임지고 협의·해결할 수 있는 우리측 당국자인 차관의 격을 문제 삼아 예정된 남북 당국간 대화까지 거부하는건 전혀 사리에 맞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강해인기자 hik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