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누리전자상품권’ 전통시장서 찬밥신세

온누리전자상품권 시장서 ‘찬밥’
홍보 부족에 상인들 매출 노출 꺼려… 사실상 무용지물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도입된 온누리전자상품권이 홍보ㆍ인프라 구축 부족으로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다.

23일 시장경영진흥원 등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경기지역 전통시장(등록인정 시장) 112곳 중 온누리전자상품권에 가맹된 시장은 108곳으로 이 중 온누리전자상품권 결제가 가능한 점포는 모두 1만1천692곳에 달한다.

그러나 홍보부족과 세원 노출을 꺼리는 등의 이유로 가맹점이더라도 전자상품권을 기피하거나, 온누리전자상품권 가맹점이라는 사실조차 모르는 상인들이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로 이 날 수원관내 A시장의 경우 200여곳에 달하는 점포에서 온누리전자상품권 사용이 가능했지만, 이를 알리는 스티커를 붙인 곳은 10여곳에 불과했다. 한 상인은 “현금으로 받을 수 있는데 굳이 온누리전자상품권을 받는다고 알리고 싶지는 않다”면서 “전자카드로 받으면 결제하기도 귀찮은 게 사실”이라고 귀띔했다.

수원 관내 B시장의 경우 역시 온누리 전자상품권 가맹점포 3곳 중 2곳은 온누리전자상품권 자체를 알지 못했다. 고모씨(50ㆍ수원시 팔달구)는 “얼마전 선물받은 온누리전자상품권을 들고 가맹시장과 가맹점포를 찾았는데, 가맹점포라는 안내 스티커가 붙여져 있었는데도 카드단말기조차 없어 사용할 수 없었다”며 “사용할 수 있는 점포가 많지 않으면 사실상 무용지물 아니냐”고 불만을 터뜨렸다.

이에 따라 온누리전자상품권에 대한 홍보강화와 가맹점포 확대, 상인들의 적극적인 참여 등으로 활용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온누리전자상품권은 5만원권, 10만원권의 무기명 카드와 충전용 기명식 카드로, 지류식 온누리상품권의 문제로 지적돼 ‘현금환급’을 막아 시장 매출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대기업과 공공기관 등에서 대량으로 구매해 전통시장 살리기의 좋은 수단으로 꼽히고 있다.

경기도상인연합회 관계자는 “전자카드를 긁어야 하는 부분 등에 상인들이 불편함을 느껴서 아직 활발히 통용되지 않고 있다”며 “전통시장 활성화에 주요한 수단으로 느껴지는만큼 가맹점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홍보를 펼쳐 소비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