숏게임은 스코어 향샹의 ‘지름길’
프로 골퍼든 아마추어 골퍼든 파 온을 성공하지 못하는 한 반드시 어프로치를 해야하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그린 근처에서 주로 많이 사용하는 어프로치 샷에는 칩샷과 더불어 퍼터로 그린을 공략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제대로 샷을 구사하기 어려운 에지나 러프 등에서는 좀 더 남다른 주의가 요구된다.
PGA 경기를 시청하다보면 선수들이 3우드로 그린을 공략하는 것을 종종 보게 된다. 에지 부분에서는 퍼터 대신 3우드를 사용해 퍼팅하는 것처럼 샷을 하면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린과 볼 사이 러프 사이에 위치한 잔디의 저항을 충분히 계산하기 쉽지 않은 만큼 3우드로 에지부분을 넘겨 그린 위에 떨어뜨린 뒤 남은 거리를 굴리는 방법이다. 주요 포인트에 따라 확실하게 연습해두면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숏게임을 한층 업그레이드 해 줄 수 있다. 하지만, 그린 주변의 상황에 따라 클럽을 신중하게 선택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주요 포인트>주요>
①그립: 퍼팅할때와 마찬가지로 가볍게 쥔다.
②체중 배분: 5대5로 체중을 균등하게 싣는다.
③양쪽 팔꿈치: 자연스럽게 몸의 움직임을 도와줄 수 있도록 해야한다.
④스탠스: 거리에 따라 다르며, 짧은 거리 일수록 모으는 것이 안전하다.
△에지 마지막 부분에서 러프사이에 놓여 있는 볼
라운딩을 하다보면 볼이 잔디가 자라있는 그린 에지의 경계선에 정지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 경우는 볼을 컨트롤하기도 어려울 뿐더러 칩샷의 탑핑과 퍼터의 거리조절 또한 쉽지 않다. 때문에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해 샷을 하면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주요 포인트> 주요>
①클럽의 페이스라인이 둥근 것보다는 일자로 된 피칭웨지나 9번 아연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②샷을 할때 그립과 스트로크를 퍼팅할때와 같이 한다.
③타격은 클럽페이스면으로 볼의 중심부를 때려야한다.
④스탠스를 거리에 따라 다르게 해야한다.
⑤체중을 6:4정도로 왼쪽에 싣고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⑥헤드-업은 금물이며 왼손목을 꺾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아마추어 골퍼들은 공을 멀리 보내고 정확하게 보내기 위한 드라이버와 아이언 위주의 연습은 열심히 하면서도 숏 게임인 어프러치나 퍼팅에 대해서는 노력을 게을리 하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필드에서 티샷과 세컨샷을 잘해 놓고도 어프로치나 퍼팅의 숏게임에서 무너지는 경우를 흔히 경험한다.
숏 게임은 드라이버와 아이언만큼이나 중요한 것일 뿐 아니라 많은 연습량을 필요로 한다. 숏게임 실력 향상은 퍼팅수를 줄일 수 있는 지름길임을 명심하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