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행부, 직영 아닌 책임운영기관제 추진에 관련단체 반발
오는 10월 개관을 앞둔 국립세종도서관운영과 관련(본보 6월28일자 12면), 정부가 직영이 아닌 책임운영기관제로 운용하려고 하자 관련단체들이 반발하고 있다.
30일 안전행정부와 문화체육관광부, 사단법인 한국사서협회에 따르면 총 사업비 1천15억원을 들여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건립되는 국립세종도서관은 부지 2만9천817㎡, 건축 전체면적 2만1천77㎡에 지하 2층, 지상 4층 규모로 10만권의 초기 장서와 연속간행물 1천종, 멀티미디어 1만여점의 자료가 비치될 예정이다.
계획단계에서부터 기록물 보존과 정부의 정책수립 지원을 위한 정책도서관 역할을 70%, 세종시민의 독서 및 문화활동을 위한 공공도서관 역할을 30%로 각각 잡고 오는 10월 개관할 예정이다.
안행부는 국립세종도서관 운영주체와 관련해 직영이 아닌 법인화를 추진하려다 관련단체에서 반발하자 책임운영기관지정 카드를 대안으로 확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사)한국사서협회와 전국 대학 문헌정보학과 학생과 교수 등은 최근 ‘국립세종도서관 운영주체에 대한 (사)한국사서협회의 입장’이라는 성명을 내고 국립세종도서관의 국립중앙도서관 직영을 강력히 요구했다.
협회 등은 성명서에서 “국립세종도서관은 국가도서관으로 정부정책 수립을 지원하고 정보 정책협력 망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해야 함에도 책임운영기관으로 운영하면 국가도서관 정책이 성과와 평가주의 경제성 논리로 치부될 우려가 높다”라고 지적했다.
또한 “국립도서관은 지난해 기준 재정자립도가 0.9%에 불과해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되면 도서관 고유 업무가 많이 축소될 수밖에 없다”라고 직영을 거듭 주장했다.
성명서 발표에 이어 정옥영회장등 회장단은 지난달 26일 안행부를 방문해 협회 입장을 전달하며 재고를 요청했다.
문화체육관광부도 이달 초 도서관의 공공재적 성격과 국립중앙도서관분관 형태의 세종도서관 설립 취지에 맞는 직영 입장을 안행부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옥영 한국사서협회장은 “도서관은 사업성과 무관한 비수익성 기관으로 세종도서관은 국내도서관을 선도하는 정책적 성격이 강해 책임운영기관제도의 대상기준에 해당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안행부는 “사서협회와 문체부입장 등을 충분히 검토해 결정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세종=김요섭기자 yoseopki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