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집 증후군 피하려면 베이크 아웃

건축자재서 나오는 독성물질 잦은 환기 등으로 제거

“새집증후군발생 건축자재 확인하고, 베이크 아웃(bake-out)’하세요”

신축 건축물 입주 때 우려되는 것은 페인트, 벽지, 벽면 등에서 발생해 피부질환이나 알레르기 증상 악화, 호흡곤란, 중추신경 계통 및 신경이상 등 건강에 악영향을 주는 새집증후군(Sick House Syndrome) 이다.

이런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실내 건축자재들이 확인돼 주의가 필요하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4일 “2004년부터 작년까지 국내에 시판된 실내 건축자재 3천350개의 오염물질 방출량 조사 결과 약 7.7%인 257개 제품에서 기준치를 초과했다”라고 발표했다.

257개 건축자재 중 1급 발암물질인 벤젠과 자일렌 등 독성물질의 양을 종합해 측정한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은 244개(95%), 톨루엔은 13개, 폼알데하이드는 1개 제품이 각각 오염물질 방출기준을 초과했다.

방출기준을 초과한 톨루엔은 최고 1.727㎎/㎡·h로 2011년 기준치 대비 21배 이상 초과했고,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은 최고 38.758㎎/㎡·h로 2006년 기준치 대비 9.7배까지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군별 오염물질 방출기준 초과율은 페인트가 13.2%로 가장 높았고, 벽지 5.7%, 바닥재 5.5%, 벽면 흠을 메우거나 고르게 하는 퍼티 2.9%, 접착제 2.8%, 건축 부재의 이음매를 채우는 실란트 2.2% 순으로 나타났다.

세종=김요섭 기자 yoseopkim@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