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 논란 ‘인조잔디 운동장’ 어찌하오리까…

인천지역 56개교에 조성 9곳은 5년지나 기능상실 시교육청 깊어지는 ‘고민’

인천지역 일선 학교의 인조잔디 운동장이 보수 및 교체가 시급한 애물단지로 전락하는데다 유해성 논란도 끊이지 않고 있다.

15일 인천시교육청과 일선 학교에 따르면 지난 2000년 A 여고에 인조잔디 운동장이 조성된 이후 인조잔디 운동장 조성이 급증, 현재 인천지역에 모두 56곳의 인조잔디 운동장이 조성됐다.

올해에도 4개 학교에 인조잔디 운동장이 만들어질 예정이다.

그러나 학교당 3억~5억 원의 예산을 들여 인조잔디 운동장을 조성했음에도 정작 유지·보수 예산 지원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보수하거나 교체·철거하는데도 상당한 예산이 소요되지만, 시교육청은 그동안 학교 운동장 개방 수입을 적립해 학교 측이 감당하도록 규정했다.

인조잔디의 수명은 최대 8년이지만 보통 5년 이상 사용하면 인조잔디가 눕거나 바닥이 닳아 보수가 불가피한 상황이어서 보수에만 1천만 원 이상, 폐기는 4천만 원 이상, 교체는 1억 원가량이 소요된다.

현재 인천지역에 조성연한이 5년 이상 된 학교는 9개 학교로, 이 가운데 일부 학교는 체육 활동 진행 시 안전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큰 상황이다.

B 학교는 최근 인조잔디가 누워 축구하기 어려워지자 최소 2천만 원 이상의 보수예산을 검토했으나 연간 700만 원도 안 되는 운동장 개방 수입으로 이를 감당하기에는 역부족, 결국 포기했다.

B 학교 관계자는 “인조잔디가 많이 파손됐지만, 꽉 짜인 학교 예산만으로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라며 “인조잔디 운동장 조성에 앞장선 시교육청이나 중앙정부가 유지 및 관리에도 관심을 갖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 최근 문체부가 전국 100개 학교의 인조잔디 조사 결과, 3분의 1가량의 인조잔디에서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이 검출돼 유해성 논란도 끊이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전체 학교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벌인 후 정부·지자체와 협의해 보수 및 교체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