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한 날씨와 물놀이가 잦은 8월 귓속 염증으로 고생하는 환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진료비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07년 135만3천명이었던 외이도염(질병코드 H60) 환자는 2012년 154만5천명으로 5년동안 연평균 2.7%씩 늘었다.
같은 기간 외이도염 진료비도 554억원에서 669억원으로 해마다 4%정도 꾸준히 증가했다.
외이도는 귓구멍에서부터 고막까지 이르는 관으로, 외이도염은 이 부위에 세균이나 알레르기 등 때문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말한다.
월별로 살펴보면 8월 환자 수가 평균 27만1천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7월(21만4천935명), 9월(20만7천406명)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8월 외이도염 환자 가운데 10대 청소년의 비중이 16.3%로 가장 컸다.
외이도염은 보통 항생제와 스테로이드 성분이 섞인 점액을 귀에 넣거나 항생제를 먹어 치료할 수 있지만 오래 놔둘 경우 심하면 청력에 지장을 줄 수도 있다.
전문가들은 "외이도 상황을 관찰하지도 않고 면봉·귀이개 등으로 무리하게 자극을 주면 고막이 찢어지거나 외이도 폐쇄, 중이염 등으로 진행될 수 있는 만큼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여름철 외이도염 주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