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많고 탈 많았던’ 대우건설 글로벌캠퍼스ㆍ인천아트센터 개발사업
市ㆍ경제청, 용도변경ㆍ용적률 상향 등 특혜논란 재조명
고위 공무원 개입의혹 제기… 김효석 소장 영장청구
검찰이 김효석 인천시 서울사무소장의 뇌물비리 사건을 수사(본보 26·27일 자 1·7면) 중인 가운데 대우건설이 추진했던 송도 글로벌캠퍼스 및 인천아트센터 개발사업 과정에서 불거졌던 각종 특혜시비가 뒤늦게 재조명되고 있다.
26일 인천시와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등에 따르면 대우건설은 송도국제도시 7공구에 대규모 주상복합아파트를 짓고 여기서 나오는 이익금으로 송도 글로벌캠퍼스 건립 사업과 인천아트센터 지원1단지 내 주상복합아파트 건립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두 사업 모두 특혜시비가 끊이지 않았다. 송도 글로벌캠퍼스 건립 사업은 지난해 초 부동산 경기 침체로 주상복합 분양이 저조하자 대우건설은 고통분담 차원에서 사업시행자인 송도글로벌대학캠퍼스(주)(SGUC)에게 적자예상분 580억 원을 감면해 달라고 요구했고, 경제청은 이를 일부 받아들여 251억 원을 줄여줬다. 이를 놓고 당시 경제청이 사업을 서둘러 추진하려고 시민 혈세를 대우건설에 퍼주는 등 특혜를 줬다는 비판이 시의회 등을 중심으로 거세게 일었다.
인천아트센터 개발사업도 마찬가지다. 지원1단지는 오피스텔 비율이 기존 30% 이하에서 50% 이하로 늘어났고, 용적률은 300%에서 400%로, 저층위주의 콘셉트는 오피스텔 등을 위해 고층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또 지원2단지(OK센터)는 애초 숙박·업무·판매시설이던 용도가 아파트·오피스텔 분양이 포함되는 등 용도변경이 이뤄진데다, 용적률은 600%에서 950%로 껑충 뛰었다. 애초 개발 콘셉트는 무시되고, 대우건설의 수익성을 높여주기 위한 용도변경이 이뤄졌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한 시의원은 “유독 경제청 등이 사업성을 올려야 한다며 대우건설에 지원을 아끼지 않았고, 이로 인해 특혜 논란이 계속됐다”며 “대우건설 측이 시장 측근이나 고위공무원에게 강력하게 로비했고, 이로 인한 외압이 작용했다는 의혹이 컸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북부지검 형사6부(신성식 부장검사)는 이날 지난 2011년 5월 구월 보금자리주택(현 구월 아시아드선수촌) SC1 블록 공사 입찰과 관련, 대우건설 건축사업본부장 A씨(53)로부터 “공사 입찰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달라”는 청탁과 함께 5억 원을 받아 챙긴 혐의(특가법상 뇌물수수)로 김 소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하지만, 김 소장은 검찰의 범죄혐의에 대해 전면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민우기자 lmw@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