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표의원, 유통업체 매출분석
정부의 전통시장 활성화 대책에도 전통시장의 매출이 대형마트와 크게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김한표 의원이 주요 유통업체 매출을 분석해 공개한 결과를 보면 전통시장 한 곳의 평균 매출액은 163억원으로 평균 760억원인 대형마트 평균 매출액의 4분의1 수준에 불과했다.
2011년 기준 전통시장 수는 1천283곳이었으며 연 매출액은 21조원으로 집계됐다. 전통시장 한 곳당 매출액은 163억원이다. 전통시장 점포 수는 18만6천192개로 한 점포당 연 매출액은 1억1천200만원으로 추산된다.
전통시장 한곳, 대형마트 4분의 1 수준
정부 활성화 정책에도 매출 ‘뒷걸음질’
백화점ㆍSSM 공세… 지난해 149억 ‘뚝’
반면 대형마트는 472곳, 매출액은 35조9천억원을 기록했다. 대형마트 한 곳당 매출액은 760억원으로 전통시장 4.7곳과 대형마트 1곳의 매출액이 맞먹었다. 전통시장 4곳의 매출액을 합쳐도 대형마트 1곳의 매출액에 못미치는 것이다. 백화점(93곳)은 한 곳당 매출액이 1천784억원으로 전통시장의 10.9배에 달했다.
문제는 전통시장 한 곳당 매출액이 크게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다. 전통시장 한 곳당 매출액은 지난 2008년 178억원이었으나 2012년에는 149억원으로 떨어졌다.
반면 대형마트와 백화점은 최근 5년간 매출액이 각각 39%, 107% 늘어 격차는 더 벌어졌다.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점포당 연 매출액도 58억원에 달해 SSM 3곳이 전통시장 한 곳의 매출액을 넘어섰다. 전통시장 점포 50곳 이상의 매출실적이 SSM 한 점포와 비슷한 셈이다.
이처럼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와의 매출액 격차는 해마다 늘고 있지만, 정부의 전통시장 시설현대화사업 지원실적은 해마다 줄어들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8년 1천967억원이던 전통시장 시설현대화사업 지원액은 2012년 1천605억원으로 18.4% 감소했다.
김한표 의원은 “정부가 전통시장 활성화 대책을 마련한다고 하지만 해가 갈수록 대형마트·백화점과의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며 “시장 상인들의 애로사항 등 현장의 목소리에 직접 귀 기울이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는 등 근본적인 처방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