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금만 내는 공용 스마트폰… 권익위 고양시 조사

국민권익위원회가 고양시의 공용 스마트폰 사용 실태에 대해 조사를 벌이고 있다.

30일 고양시에 따르면 국민권익위원회 부패방지팀 소속 조사관 2명이 지난 24일부터 고양시를 방문, 일선 공무원에게 지급한 공용 스마트폰의 예산 낭비와 사적사용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이고 있다.

시의 공용 스마트폰 구입은 SNS를 활용해 시정을 홍보하고 현장민원 처리에 활용하자는 취지로 국장들과 각과 과장, 현장 실무자들에게 지급했다.

2010년 10월 20대를 첫 구매한 시는 이어 2011년 3월 20대, 지난해 9월 40대를 추가 구매하는 등 모두 80대의 공용 스마트폰을 운용하고 있어 전국 기초 지자체 중 가장 많은 공용 스마트폰을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 조건은 대당 월 5만7천원으로 시는 지난달까지 3년 동안 모두 1억269만원의 요금을 냈다.

권익위 조사에서 시는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았음에도 매달 약정 요금을 시 예산으로 낸 것으로 드러나 예산 낭비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또 무료통화 기준인 한달 30분을 사용하지 않은 공용 스마트폰도 17대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권익위는 시가 첫 구입한 20대 외에 추가로 구입한 60대의 공용 스마트폰이 과도하게 지급됐으며 공용 스마트폰을 가족이 쓰도록 하는 등 사적사용 부분에 대해서도 실태를 확인한 뒤 조사를 마무리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조사결과가 나오면 필요없는 부서와 실무자들로부터 회수해 스마트폰 숫자를 줄이겠다”며 “사적 사용을 하지 않도록 계도하겠다”고 말했다.

고양=유제원기자 jwyoo5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