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자유구역 10년, 새로운 성장동력은] (하) 과감한 제도개선 시급
오는 2020년까지 3단계 개발을 목표로 현재 45%의 진행률을 보인 인천경제자유구역은 향후 10년을 대비할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고도 중앙정부의 무관심으로 좌초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인천경제청은 세계 경기침체 속에 의료와 교육·관광·레저·물류 등을 신성장동력으로 기획재정부에 건의했고, 기재부도 송도를 교육·의료·MICE·관광·레저 등 서비스산업 허브로 발전시키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서비스산업 허브화를 주도하고 있는 기획재정부는 인천경제청과 관련기관이 참석하는 TF회의를 단 한 차례 연 뒤 이렇다 할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신학용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장은 “인천은 계양·서·연수구가 교육국제화 특구로 지정되어 있고, 송도국제도시 내 송도 글로벌캠퍼스 사업과 병행하면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게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의료ㆍMICE산업 등 미래성장동력
행ㆍ재정적 지원-제도 개선 미적미적
GCF도시 무색한 관광호텔 태부족
카지노ㆍ복합리조트 종합계획도 없어
그는 “송도 글로벌캠퍼스 내 세계적 대학 유치가 잘 추진되고, 인천경제자유구역의 특수목적에 맞는 특성화 학과와 외국교육기관이 들어서 글로벌 교육 허브가 되도록 행·재정적 지원과 제도개선에 기재부와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이학재 의원은 “세계적 수준의 공항과 항만이 있고, 녹색기후기금 사무국을 송도에 유치해 국제도시로 발돋움하고 있는 인천에 1급 이상 관광호텔 수가 턱없이 부족하고, MICE 산업 전반에 대한 종합계획도 미비한 실정”이라며 “아직 인천은 MICE 방문객이나 외국 관광객을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인천의 관광숙박시설 부족에 대한 종합적인 개선책이 필요한 시점으로 중앙정부는 인천경제자유구역 내 카지노와 복합리조트 사업을 포함한 MICE 산업에 전반에 대한 종합계획을 먼저 세운 뒤 이에 따른 실행전략을 적극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허동훈 인천발전연구원 정책연구실장은 “외국인 정주 여건을 높이기 위해 인천경제자유구역 내 외국인 전용 병상, 즉 국제병원을 설립하고 국제 의료진을 보유한 병원들은 의사-환자 간 원격진료를 부분적으로 허용하는 방향으로 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내외 의사를 대상으로 의료 신기술을 전수하고 트레이닝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의료 및 MICE 산업이 동반 발전할 수 있도록 국비 지원과 보건복지부의 적극적인 도움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 서비스경제과장은 “MICE 산업은 지원체계 구축 등에서 상당한 진척을 보이고 있지만, 의료와 관광·레저 등의 분야에서는 중앙정부가 지원하려 해도 지방정부와 의견이 맞지 않아 안타까운 부분이 없지 않다”며 “각 분야에서 송도 서비스산업 허브화가 조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창수기자 cski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