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적합 급수 수질에 학생들 안전 ‘빨간불’

도내 학교 먹는물 331건 ‘부적합’… 아이들 건강 위협
공공기관·식수 공동시설도 수질검사 결과 20% 부적합

경기도내 상당수 학교의 먹는물이 수질검사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아 허술한 학생 건강관리가 도마위에 올랐다.

경기도의회 조성욱 의원(새ㆍ용인)은 21일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 대한 행정감사에서 “도내 많은 학교에서 수질이 부적합한 채 급수로 이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도가 조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실시한 8천872건의 학교 수질검사에서 3.7%에 해당하는 331건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이 중 328건은 학교에서 사용되는 정수기의 수질이었으며 나머지 3건은 지하수로 나타났다.

학교별로는 도내 초등학교 2천282곳의 정수기 검사에서 110건(4.8%)이 음용이 불가능하다고 판명됐으며 중학교의 경우 2천509건의 검사 중 92건(3.7%)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또 고등학교에서는 3천327건의 학교 급수 수질검사에서 2.7%에 달하는 91건이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군포시 A고교는 교무실과 복도 등에 설치된 정수기 무려 16개에서 음용 불가능 판정을 받았다.

이와 함께 먹는물 공동시설에서 2천7건의 수질 검사 중 5분의 1이 넘는 21.5%(431건)가 부적합 판정을 받았으며 여주지역 먹는물 공동시설의 경우 11건 검사 중 절반에 육박하는 5건(45.5%)이 음용불가로 판명됐다.

아울러 도내 공공기관에 대한 721건의 수질검사에서도 20%인 146건이 음용이 부적합한 물로 드러났으며 이는 주로 민방위 급수시설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 의원은 “학생들과 도민들의 건강과 직결되는 공공 시설의 급수 수질을 조속히 개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양휘모기자 return778@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