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단상] 체계적인 에너지 절약, 이제는 지자체서 나설 때

남양주, 전력 안정적 수급 각별한 노력

우리는 지난 여름 원전비리 사태와 맞물려 전력 수급 위기를 겪은 바 있다. 이 위기를 모든 국민들과 공직자들이 에너지 절약에 동참하여 슬기롭게 극복했다. 하지만 이 전력 수급 위기는 끝난 것이 아니다. 겨울철에는 전기 난방용품의 사용이 증가하여 재차 전력수급의 위기를 겪을 수도 있다. 특히 올 겨울 추위는 예년보다 더 일찍 시작했으며, 원전 가동이 지체되고 있어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11월 전남 고흥에서는 전기료를 아끼기 위해 촛불을 켠 할머니와 어린 외손자가 화재로 숨지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졌다. 원인은 전기료 미납으로 단전된 집안을 밝히려 형광등 대신 켜 놓은 촛불이었다. 생활고에 시달리며 6개월 동안 전기요금 15만7천원을 내지 못한 이 조손가정은 전류 제한조치를 받게 되자 밤에는 촛불을 켜고 생활해 온 것으로 알려져 안타까움을 더한 바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정부는 전기요금을 평균 5.4%를 인상하고 장기적인 에너지수요 조절에 나서고 있다. 밀양 송전탑 논란에서 보듯 에너지시설의 확충에는 많은 비용과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상황이라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당장 에너지수요 조절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중앙정부와 달리 지방자치단체들은 전력 위기에 마땅한 전략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시민들의 안정적인 생활을 도모해야 하는 본연의 역할을 고려할 때 전력의 안정적 수급 또한 지자체에서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부분임에 틀림없다. 남양주시는 지난 2012년 4월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을 수립해 정부의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에 대비해 왔다. 이같은 준비의 결과 드디어 지난달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예비사업자로 선정됐다. 2014년 상반기 중 최종적인 사업규모가 결정되면 2015년부터는 본격적인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스마트그리드란 기존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을 결합하여 전력사용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전력망 구축 사업으로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원격검침인프라), ESS(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저장시스템), 전기자동차(EV) 충전 인프라 구축 등이 핵심적인 사업이다.

남양주시가 추진하게 될 스마트그리드 사업은 약 95억 규모로 예상되며 1만 가정에 AMI활용 전력재판매 서비스 구축, ESS를 활용한 전력거래서비스 1.2MW, 전기차 충전인프라 122개소 구축을 추진하게 될 전망이다. 장기적으로는 민간사업자와 함께 주거단지, 상업지역, 일반가정 등 도시기반 시설과 생활환경 전반에 사업을 확장할 예정이다.

미국 캘리포니아는 ESS 설치를 의무화하는 법안을 제정했으며 일본은 5천억 규모의 보조금 지급을 추진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이같은 ESS 설치를 의무화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이같은 움직임에 앞서 이미 남양주시는 별내면사무소를 시작으로 각 읍면동 청사와 사업소 등에 ESS설치를 확대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발전소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사회적 갈등을 극복해야 하지만 스마트그리드를 활용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면 발전소를 짓지 않아도 발전소를 짓는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지방자치단체들이 앞장서 체계적으로 에너지를 절약해 나가는 분위기를 만들어가야 할 때이다.

다른 지자체들 보다 한발 앞선 스마트그리드 사업 추진으로 우리 남양주시는 유기농과 슬로푸드, 슬로라이프를 선도하는 친환경 생태도시로서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전력 공급망을 확보하여 시민들이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전기를 사용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석우 남양주시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