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검찰 수사를 받아온 인천의 신라저축은행 대주주와 경영진들이 결국 기소됐다. 검찰이 지난 2월 수사에 착수한지 9개월만이다. 인천지검 특수부(신철호 부장검사)는 지난달 27일 신라저축은행 경영진 비리 수사결과, 대주주와 전·현직 대표이사·간부 등 8명을 기소하고 달아난 본부장 1명은 기소중지 했다고 밝혔다.
신라저축은행은 부평본점과 경기·서울 등에 7개 지점을 두고 영업해왔고, 총 자산이 1조5천500억원에 달하는 업계 8위의 중견업체였다. 그러나 경영진의 비리와 경영부실로 지난 4월 영업정지 됐고, 9월엔 채권자인 예금보험공사가 법원에 파산을 신청했다.
검찰 발표를 보면 금융기관이 범할 수 있는 온갖 비리는 다 저질렀다. 은행이 거덜 날 수밖에 없었다. 대주주인 A 전무(42)는 지난 2010년 8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미술품 투자 목적으로 페이퍼컴퍼니를 설립, 고객들이 맡긴 예금 135억원을 이 회사에 불법 대출했다. 또 2010년 말엔 대출한도 80억원을 초과, 미술품 거래업체에 100억원 넘게 빌려 줬다.
지난해 8~11월엔 자금력이 취약한 드라마 제작사들에게 거액의 신용대출을 해줬다. 상호신용금고 때처럼 저축은행을 개인금고로 여기고 방만하게 운영한 것이다. 이 때문에 신라저축은행은 수십억원의 영업 손실을 본 것으로 드러났다. A 전무의 비리는 이에 그치지 않았다. 자신의 친구가 운영하는 대출모집 업체에 대출자 모집을 독점위탁, 대출액의 10%에 달하는 업계 최고율의 수수료를 지급했다. 신용대출 알선자로부터 3천만원을 받기도 했다.
B 이사(59) 등 3명은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을 투자 설명서에 허위 기재, 60억원 상당의 후순위 채권을 발행해 투자자들에게 손해를 끼쳤다. 당국과 고객을 속이는 꼼수도 부린 것이다. 이들은 또 3억원 이하 대출은 대손충당금을 적립하지 않는 등 분식회계도 저질렀다.
대리 등 직원 4명은 대출알선 업자로부터 수백만원에서 1억원의 돈을 받기도 했다. 달아난 C 본부장(43)은 소액 신용대출 모집 업체로부터 18억원을 받아 챙겼다. 위아래가 썩었으니 은행이 제대로 운영될 리 없다. 지난 2011년 5.93%이던 BIS 기준 자기자본 비율이 지난해 9월말 -6.06%로 급락한 것은 부실경영의 필연적 결과다.
신라저축은행이 이 지경이 되도록 금융감독원 등은 뭘 하고 있었는지 책임을 통감해야 한다. 금융당국은 신라저축은행 몰락을 교훈삼아 과거 상호신용금고 때의 방만한 경영 틀을 벗지 못한 저축은행을 가려내 관리 감독을 한층 더 철저히 해야 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