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주민 4명 중 3명 답변
다문화가정을 포함한 농촌주민 4명 중 3명은 일상생활 언어로는 한국어 사용을, 식생활 관련 문화는 다문화형 정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농촌 다문화에 맞는 정책 방안 마련을 위해 ‘농촌주민 대상 다문화통합정책 선호도’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통합정책 모형과 활용지침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한국인 남편, 외국인 아내로 이뤄진 다문화부부 200쌍, 지역민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일상생활언어에서 다문화부부 중 한국인 남편 76.1%, 외국인 아내 67.2%가 한국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답변했으며, 지역민의 75.5%도 한국어 사용을 선호했다.
반면 식생활방식에 있어서는 한국인 남편 79.2%, 외국인 아내 82.3%가 한국방식과 아내의 모국방식 모두를 수용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지역민의 75.5%도 이에 동의했다. 자녀 양육 시 사용언어 역시 한국인 남편 65.5%, 외국인 아내 70.7%, 지역민 62.4%가 양국 방식을 모두 따라야 한다고 답변했다.
농진청은 이를 토대로 일상생활언어영역은 적극적인 동화 정책을, 다른 영역에서는 한국형 문화와 결혼이민 여성의 출신국가 문화를 융합해 수용하는 정책을 제시했다.
양순미 농진청 농촌환경자원과 연구사는 “자녀 양육 시에는 한국어 습득에 주력하면서 이중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식생활문화에서는 결혼이민자의 출신국가 식문화를 수용, 인정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