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에 소비침체 작년 판매액 전년比 46%↓ 723억4천만원 대기업 구매 부진도 한몫… 전체 판매액 3천257억여원 그쳐
지난해 기업경영 악화와 소비심리 위축으로 온누리상품권 판매가 크게 부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기지역은 전년보다 판매액이 절반 가까이 떨어졌다.
8일 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지난해 온누리상품권 판매액은 3천257억8천만원으로 지난 2012년의 4천257억7천만원보다 23.5% 줄었다. 이는 정부가 지난해 판매 목표로 한 5천억원의 65.2%에 그친 수준이다.
구매 주체별로 공공부문(정부·공공기관) 983억3천만원, 민간부문(대·중견·중소기업) 1천784억원, 개인 구매 490억5천만원이었다. 특히 공공부문 판매액은 2012년(708억9천만원)보다 38.7% 증가했지만, 민간부문과 개인 구매가 각각 2천390억3천만원에서 25.4%, 1천158억5천만원에서 57.7% 줄어 온누리 상품권 판매실적 감소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공공부문은 정부가 경제관계장관회의 등에서 상품권 구매를 적극적으로 장려해 공공기관 구매가 늘었지만, 개인과 기업 구매액을 합친 금액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한 것이다.
경기지역의 지난해 온누리상품권 판매액은 723억4천만원으로 전년 1천351억원보다 46.4%나 감소했다. 이 같은 이유는 수원 삼성전자 등 대기업의 온누리상품권 구매가 전년보다 크게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 지난 2010년과 2011년 온누리상품권 구매액은 서울이 각각 143억원, 536억7천만원으로 같은 기간 경기지역 95억 1천만원, 546억1천만원보다 많았지만 2012년 들어서는 수원 삼성전자 사업장의 온누리 상품권 구매가 크게 늘면서 경기지역 판매액(1천351억원)이 서울 판매액(898억5천만원)을 훌쩍 넘어섰었다.
중소기업청 시장상권과 관계자는 “기업의 경우 직원에게 지급하는 온누리상품권의 통상임금 포함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일었던 점과 경기침체로 인한 경영악화가 구매를 줄이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온누리상품권을 활성화 시키려면 공공부문보다는 개인 등 민간부문의 구매 및 소비 촉진을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공공부문은 온누리 상품권을 구매할 수 있는 규모가 한정돼 있는 것도 한계다.
도내 시장상인회 관계자는 “온누리상품권으로 시장에서 소비가 활발히 이뤄지면 시장 상인들은 큰 도움이 된다”며 “공공기관을 넘어 민간부문에서 구매 및 소비가 활성화되도록 온누리 상품권 구매 시 다양한 혜택 등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