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 소방관 공기호흡기 안전 불안하다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 화재 현장에 출동하는 소방관들에겐 생명 같은 장비가 공기호흡기다. 공기호흡기는 화재 현장의 유독 가스를 차단, 소방관의 안전과 생명을 지켜주는 필수 개인 장비다. 소방관에겐 생명줄과 같은 것이어서 공기호흡기의 안전관리가 철저하고 완벽해야 한다. 그런데 인천시와 소방안전본부가 놀랍게도 공기호흡기 충전시설을 수년째 무허가로 운영하고 있다. 소방관들의 안전과 생명을 경시하는 처사다. 무지의 소치다.

시와 인천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지역 내 8개 일선 소방서와 119 안전센터 46곳에 공기호흡기 충전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나 모두 무허가 시설이다. 길게는 5년 이상 불법 운영되고 있다. 공기호흡기 충전시설의 무허가 운영이 촉발하는 위험은 두 가지다. 우선 화재 현장에 출동한 소방관들의 생명 위협이다. 충전시설이 무허가이니 허가 관청인 자치구의 정기검사 나 수시검사를 받지 않는다. 당연히 시설관리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없다.

공기호흡기 용기 내구연한은 10년이다. 자칫 관리가 소홀하면 용기 내부 부식으로 인해 소방관 건강 위해(危害)가 치명적이다. 또 공기호흡기 용기는 구조상 공기를 충전할 때마다 백화현상이 일어나는 등 소방관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그러나 충전시설의 무허가 운영 상태에서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또 충전 중 일산화탄소 등 유독성 기체나 불순물이 섞여 들어가면 소방관이 위험에 빠질 수 있다.

다른 하나는 무허가 충전시설 주변 주민들의 안전 위협이다. 주택가 등과의 안전거리를 확보하지 않은 고압 충전시설이니 작업 때 저장시설이 폭발하면 주변 주민의 심대한 피해가 우려된다. 이 같은 위험성 때문에 공기호흡기 충전시설은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에 따라 자치구로부터 허가를 받아야 한다. 주택가 등과 안전거리를 확보해야함은 물론 고압가스를 제조하거나 용기를 충전하려면 일정한 별도의 공간도 마련해야 한다.

그런데도 인천시는 상급기관의 우월적 지위를 이용, 시설을 무허가로 방치하고 있다. 2012년 소방본부가 8천만원의 관련 예산을 요구했지만 이도 묵살했다. 소방공무원이 국가직이 아닌 지방직으로 인천시에 예속되어 소방행정 예산 확보와 집행을 후순위로 미루고 있다. 돈줄을 쥔 행정기관의 횡포다.

소방본부의 개선의지도 부족하다. 소방본부는 작년엔 2014년도 관련 예산을 아예 요구하지도 않았다. 도대체 왜들 이러는지 알 수 없다. 두 기관 모두 상황인식 능력이 의심스럽다. 충전시설의 조속한 합법·안전운영을 위한 근본 대책이 필요하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