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중순 성사 전망… 2월말 한미 키리졸브 훈련 중단 압박 가능성도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수용하고 우리 정부가 이를 환영함에 따라 2월 중 상봉 행사가 성사될 수 있을지에 국민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실제로 성사될 경우 남북은 3년4개월여 만에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하는 것인 만큼 경색된 남북관계 완화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우리 정부의 이산가족 상봉 제안이 두 차례나 북한 측의 거부로 무산된 데다 꺼져가는 불씨를 우여곡절 끝에 살린 만큼 이번에는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성사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관측된다.
북한은 또한 이번에 이산가족 상봉 행사에 동의하며 시기에 대해 “준비 기간을 고려해 설이 지나 날씨가 좀 풀린 다음 남측이 편리한 대로 정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일임해 정부가 희망하는 ‘2월 중순’을 제안해도 명분상 이를 거부할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남북이 구체적 시기까지 합의하더라도 이산가족 상봉 행사의 실제 성사까지는 난항을 겪을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북한이 남북관계 개선을 주장하며 대화 공세를 펼치는 가운데 자신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뒤집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북한이 당초 거부했던 이산가족 상봉에 동의함으로써 우발적인 무력 충돌 가능성을 없애자는 명분으로 2월 말 예정된 한미 연합군사훈련인 키리졸브 중단을 압박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우리 정부가 이를 거부하면 북한은 자신들이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행동에 나섰음에도 우리 측의 거부로 무산됐다며 남북관계 악화의 책임을 떠넘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우리 정부가 이산가족 상봉 행사와 금강산 관광 문제는 별개라는 방침을 고수하는 가운데 북한이 금강산 관광 재개 카드를 다시 꺼내 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정부는 27일 북한의 수용 제의에 대한 우리 정부 입장과 상봉을 위한 실무협의 방법 등을 담은 대북 전통문을 전달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정부는 북한의 이산가족 상봉 제의 수용을 환영한다는 입장을 피력하고 실무협의 방법이 정해지는 대로 이산가족 상봉의 구체적인 시기와 장소, 규모 등을 협의하자고 제안할 예정이다.
한편 정치권에서는 북한의 이산가족 상봉 행사 동의에 대해 일제히 환영했다.
새누리당 유일호 대변인은 “북한 측의 전향적인 모습을 환영한다”며 “상봉 신청자의 80% 이상이 70대 이상의 고령자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제는 정치ㆍ군사적인 이유로 이산가족 상봉이 연기되는 일이 없도록 남북 양측 모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민주당 이윤석 수석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설을 앞두고 좋은 선물”이라며 “어떤 조건이나 형식에 구애받지 말고 즉각 상봉행사를 성사시켜야 하며 살아생전에 이산가족의 소원이 이뤄지길 간절히 기원한다”고 주문했다.
강해인기자 hik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