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덕적도 ‘거점형 마리나항만’ 조성… ‘아시아의 나폴리’ 탈바꿈

[TODAY&ISSUE]

해양레저시설을 갖춘 국가지원 거점형 마리나항만 조성사업이 본격화된다.

해양수산부는 3일 “올해 마리나항만 개발예산으로 확보한 150억 4천만 원을 거점형 마리나항만 기반시설 실시설계 및 마리나항만 기본계획 수정 등에 투입한다”면서 “올해 사업자 공모 및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내년 사업을 착공해 2017년에 준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올해 확보한 150억 4천만 원의 예산 가운데 130억 4천만 원은 덕적도 마리나 기반시설 실시설계(16억 원)와 설계VE(2억 7천500만 원), 경남 창원 명동 마리나항만 방파제 공사보조비(41억 8천만 원), 거점형 마리나항만 홍보 및 사업평가(5억 9천만 원) 등 거점형 마리나항만 조성사업에 투입된다.

정부는 인천 덕적도, 전북 고군산, 전남 여수엑스포, 경남 명동, 울산 진하, 경북 후포 등 총 6곳을 국가지원 거점형 마리나항만으로 조성키로 하고 지난해 8월부터 기본조사 설계에 착수했다.

해양부는 올해 초 설계안이 나오는 대로 전문가 자문 등을 거친 후 상반기 중 산업통상자원부와 코트라 및 해당 지자체 등과 국내외 투자유치·홍보 활동을 벌이며 하반기에는 사업시행자를 공모하고 사업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지난 2010년 고시된 제1차 마리나항만 기본계획의 수정 용역비 20억 원도 확보, 국내외 마리나 대상지의 개발입지·적정규모, 지자체 의견 등을 재검토해 기본계획 수정안을 올해 안에 마련키로 했다.

제1차 마라나항만 기본계획에는 현재 운영 중인 전곡(300척)·김포아라마리나(200척) 외에 조성이 한창인 왕산(300척)·제부마리나(300척), 조성 계획이 추진되는 덕적도(100척)·방아머리(300척)·홀곳(300척) 등 수도권 7곳(1천700척)의 마리나항만 조성 계획이 포함돼 있다.

해양부는 2017년 사업준공을 위해 필요한 기반시설 실시설계비 및 개소당 평균 300억 원 이내의 조성비와 관련된 예산 확보를 위해 기획재정부와 적극 협의하기로 했다.

한편, 국내 레저선박 등록 척수는 2007년 2천437척에서 2012년 8천560척으로 5년 새 6천123척이 증가했고, 면허취득자도 같은 기간 6만 5천 명에서 12만 6천 명으로 6만 1천 명이 느는 등 해양레저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김창수기자 cskim@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