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음부도 자영업자 2명중 1명 ‘베이비붐 세대’
지난해 50대 47.6%로 최고… 섣부른 골목상권 창업 화불러
‘제2의 인생’이 ‘제2의 쓴잔’… 맞춤형 일자리 등 대책 시급
지난해 부도를 낸 자영업자(개인사업자) 2명 중 1명은 5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 연령에 진입한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준비 없이 창업에 들어섰다가 파산한 것으로 분석되면서 이들에 대한 다양한 일자리 마련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0일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 만기도래한 어음을 막지 못해 부도를 내고 당좌거래가 정지된 자영업자는 총 296명이다. 이 중 만 50∼59세(1954∼1963년생)의 자영업자는 141명으로 전체의 47.6%를 차지했다. 이는 부도 자영업자가 71명(23.9%)인 40대나 73명(24.6%)인 60대 이상 연령층의 두 배 수준에 달한다.
전체 부도 자영업자에서 50대가 차지하는 비중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지난 2011년에는 부도 자영업자 중 50대의 비율이 44.0%였다가 2012년에는 47.0%로 높아졌다. 특히 내수 경기 침체로 전체 자영업자 수는 줄어들고 있지만 50대 자영업자는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 50대 자영업자 수는 178만6천명으로 1년 전보다 3만명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전체 자영업자 수는 5만6천명 감소했다.
문제는 이들이 충분한 준비 없이 음식점ㆍ제과점, 치킨집 등 골목 상권에서 경쟁이 치열한 음식 서비스 업종에 뛰어들었다가 경영 악화 등으로 부도를 내거나 폐업해 퇴직금은 물론 대출금마저 날리는 경우가 허다하다는 것이다.
‘제2의 인생’은 커녕 빚만 떠안아 중산층에서 빈곤층으로 급격히 추락해 노후 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은 물론, 이는 우리 사회의 중산층 붕괴로도 이어질 우려가 크다.
김광석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베이비붐 세대의 창업 실패는 부채문제로 이어져 중산층이 대거 저소득층으로 내몰릴 가능성이 크다”며 “시간선택제 등 재취업할 일자리를 늘리고 창업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