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민센터 개청 강행 후폭풍

영종 주민들 격앙… 주민협의체 놓고 ‘민민갈등’

인천 영종도 출입국·외국인지원센터(난민센터)가 임시 개청됐지만, 강행 개청이라는 주민 반발에 민·민 갈등마저 이는 등 후폭풍이 거세다.

법무부는 지난달 28일 영·유아를 동반한 가족 등 인도적 도움이 필요한 입소선정자 14명 중 아프리카 라이베리아 국적 A씨(38·여) 등 6명을 시범 입주시켰다고 6일 밝혔다.

법무부는 임시개청기간인 다음달 30일까지 나머지 8명을 입소시키는 한편, 오는 5월께 정식 개청해 82명의 센터 정원을 채운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이를 두고 ‘강행 개청’이라는 주민 반발이 일고 있다.

법무부와 주민간의 유일한 창구였던 ‘출입국·외국인지원센터 주민협의체’가 지난해 말 해산된 상황에서 갑작스레 난민 입소가 이뤄졌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해 11월 법무부는 외국인 범죄 등을 우려하는 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난민센터 개청이 수개월간 미뤄지자, 수차례 주민대표와 협상을 거쳐 주민협의체(주민대표 장지선 ㈔영종도발전협의회장)를 구성했다.

법무부와 주민 각각 7명씩 모두 14명으로 구성된 협의체는 시범적 난민입주 방안 등을 논의해 왔다.

하지만, 이렇다 할 합의 등 성과 없이 1개월여만에 와해됐던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

법무부가 소통과 합의를 위한 창구가 없어진 상태서 사실상 일방적인 개청을 진행한 셈이다. 특히 난민센터 탓에 영종도 내 민·민 갈등까지 초래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장지선 회장은 “당시 주민협의체가 구성됐지만, ‘구성원이 주민 대표성이 없다’는 또 다른 주민들의 반발이 있었던 만큼, 해산을 결정했다”며 “개청 여부를 떠나 수개월간 중구난방으로 일던 주민반발을 논리적으로 풀고자 노력했지만, 되레 같은편으로부터 쓴소리까지 들으니 답답했다. 난민센터 때문에 괜히 주민들간에 얼굴만 붉히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법무부 관계자는 “그동안 지역 반발과 분열을 막고자 지역 주민 우선 고용과 영어교실·로스쿨 운영 등 상생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개인·단체별 접촉에서는 주민들이 대화 자체를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주민협의체 재가동 및 주민설득과정을 계속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법무부는 지난해 9월 모두 133억원을 들여 인천 중구 운북동 933-22에 난민센터(부지 3만1천143㎡)를 마련했지만, 주민반발 등으로 정식개청을 미뤄왔다.

신동민기자 sdm8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