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후보들, 순회경선 요구하며 압박 새정치연합, 배심원 활용 공론조사 방식 무게
민주당과 새정치연합 간 통합신당 창당 발기인 대회를 오는 16일 갖기로 결정하면서 6·4 지방선거 경기지사 후보 경선 ‘룰’을 놓고 팽팽한 샅바싸움이 펼쳐질 전망이다.
이번 통합을 지방선거 승리로 이어가기 위해서는 공정한 방식으로 최적·최강의 후보를 뽑아야 한다는 데 이견이 없지만, 양측간 의견이 엇갈려 잡음이 예상된다.
민주당 박광온새정치연합 금태섭 대변인은 11일 브리핑을 통해 “신당의 중앙당 창당발기인대회는 오는 16일 오후에 열리고 신당의 창당은 3월 중에 완료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양측 신당추진단은 각 분과위원장 인선을 마무리한 데 이어 분과별로 회의를 열어 통합 실무작업에 본격 착수하기로 했다. 특히 지방선거 공천 방식은 이 중 당헌·당규 분과에서 논의될 예정이다.
새정치연합은 경선방식에 관한 의견을 공개적으로 내놓고 있지 않지만, 배심원을 활용한 공론조사 방식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공론조사란 객관적인 기준으로 배심원을 골라 토론 등을 통해 충분한 사전정보를 제공하고 나서 투표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는 새정치연합이 조직력과 후보자 개인의 인지도가 떨어져 선호하는 방식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민주당은 공론조사 도입에 찬성하면서도 권역별 토론회를 통한 순회 경선을 요구하며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을 압박하고 있다.
경기지사 출마를 선언한 원혜영 의원(부천 오정)과 김창호 전 국정홍보처장은 여론조사기관에 의뢰해 패널을 선출하고 한자리에 모여 후보를 판단하는 ‘숙의 형 오픈프라이머리’를 제안했다. 이들은 또 권역별 토론회와 순회경선을 요구했다.
김진표 의원(수원정)도 공론조사 방식을 일부 적용할 수는 있지만, 당원을 완전히 배제한 경선에 대해서는 난색을 보이며 당원들이 참여한 완전 경선실시를 주장했다.
김 의원은 “이번 선거는 경선 흥행몰이 차원에서 기본적으로 당원의 의사는 반드시 반영돼야 한다”면서 선관위에 경선 관리를 위탁할 것을 제안했다.
반면,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은 “당에서 후보결정방식을 정하면 그것을 존중할 것이며 통합신당이 결정하는 결과에 따르겠다”는 원칙적인 입장이다.
강해인기자 hik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