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철을 맞아 인천시의원들이 들썩이고 있다. 구청장 출마를 위해서다. 임기 중 현직에 충실해야할 시의원들이 도중하차, 구청장에 출마하는 것은 지방자치 발전을 위해 결코 바람직한 일이 아니다. 64 지방선거에 구청장 등 출마를 위해 의원직을 사퇴한 시의원은 5명이다. 전원기 의원(민·서구1)과 이재호 의원(새·연수1), 전용철 의원(민·동구2), 김기홍 의원(민·남동4) 등 4명이 의원직을 사퇴, 각각 출신구 구청장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일몰제로 없어질 교육의원인 이수영 의원(새·남동2)은 시의원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지금으로선 구청장 등 예비후보 등록자는 일단 5명이다. 하지만 그동안 경쟁적으로 구청장 출마 뜻을 표명했던 의원은 무려 13명이나 됐었다. 시의회 정원(37명)의 35%다. 그들 중엔 시의장과 제2부의장, 그리고 5개 상임위원장 가운데 3개 위원장 등 의회 지도부가 대거 포함됐었다. 이들이 한때나마 구청장 자리를 넘보고 상당기간 출마준비를 했을 터이니 본연의 직무에 충실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물론 시의원의 구청장 출마는 법적으론 문제가 없다. 피선거권이 있는 국민이라면 누구나 공직선거에 나설 수 있으므로 시의원들의 구청장 출마를 막을 수는 없다. 그러나 정치 도의적 측면에서 임기 중 도중하차는 분명 문제가 있다. 무엇보다도 자신을 4년 임기의 시의원으로 뽑아준 주민들과의 약속을 일방적으로 파기한 것부터가 ‘신의’에 어긋난다.
유권자들이 그들을 시의원으로 뽑아준 건 지역발전과 주민생활 향상을 위해 4년간 성실히 일하겠다고 공약했기 때문이다. 임기 중에 구청장 선거판에 끼어들라고 뽑아준 건 아니다. 개인의 정치적 야심 때문에 유권자와 다짐한 공약을 일방적으로 파기하는 건 유권자에 대한 배신행위다. 시의원들이 진정 의정 경험을 살려 구청장으로서 보다 큰일을 해보고 싶다면 우선 시의원 임기를 착실하게 마치고, 차기 자치단체장 선거에 나서는 게 옳다.
5명의 의원 사퇴로 당장 우려되는 건 의회의 파행운영이다. 게다가 사퇴 안한 의원들도 재출마를 위해 마음은 이미 표밭에 가 있다. 6대 시의회는 215회 임시회(4월18일~5월20일)등 두 차례 의정활동이 남아 있다. 특히 215회 임시회에선 주요 예산사업 등에 대한 시정 질문을 비롯해 지난해의 회계연도 예산결산 검사위원 선임과 6대 의회 미결 안건 등을 처리해야 한다. 그만큼 마지막 회의에 임하는 시의원들의 소임은 막중하다. 유종의 미를 거두도록 노력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