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는 공천심사료 올라 ‘냉가슴’… 野는 기초→ 도의원 출마 ‘러시’
새누리 후보는
공천받아야할 처지 이의 제기도 못해
새누리당이 오는 6ㆍ4 지방선거 출마 희망자를 대상으로 후보자 추천신청(공천 신청)을 받고 있는 가운데 공천심사료가 지난 2010년 보다 최대 5배 인상돼 공천신청자들의 볼멘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이번 지방선거 공천심사료는 광역단체장 150만원, 기초단체장 100만원, 광역의원 80만원, 기초의원 50만원으로, 2010년 6ㆍ2 지방선거 당시보다 광역단체장과 기초단체장은 각각 50만원이 올랐으며 광역의원은 60만원 (4배), 기초의원은 40만원 (5배)가 급등했기때문이다.
여기에 해당 직책의 당비 납부 기준액 6개월치(또는 부족분)까지 내야 하는 경우 공천 신청자가 당에 납부해야 할 심사료는 더욱 늘어난다.
이에 따라 선거를 준비하며 수백만원에 달하는 선거사무소 임차료 등 만만치 않은 비용을 감당해야 하는 공천 신청자들로서는 심사료의 인상이 달갑지 않은 상황이다.
도내 기초단체장인 시장 출마를 위해 공천을 신청한 A 예비후보는 “대입전형료처럼 당에서 내라고 하니까 내지만 비용 인상이 부담스러운 게 사실”이라며 “공천을 받아야 하는 처지에서 이의를 제기하기는 어렵다”고 털어놨다.
또 다른 기초단체장 공천신청자인 B 예비후보도 “혹여 문제를 제기했다가 ‘몇십만원이 아까운 사람이 나중에 선거비용은 어떻게 충당하려 하느냐’는 핀잔을 들을까 봐 벙어리 냉가슴 앓듯 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관계자는 “지난 지방선거 이후에 보궐선거 등에서 공천심사료를 소폭 인상한 바 있어 갑작스레 금액이 오른 것은 아니다”며 “공천심사료는 공천 심사를 위한 내부 여론조사, 공천관리위 활동 등을 지원하는 데 사용되며 향후 선관위에 회계 보고를 해야 하는 사항인 만큼 수지타산 논리는 절대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 “이번에 상향식 공천제를 도입하기로 한 데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해 심사료가 오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송우일기자 swi0906@kyeonggi.com
민주 후보는
무소속 보다는 공천받아야 경쟁력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으로 구성되는 통합신당이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원에 대해 오는 6ㆍ4 지방선거 정당공천을 폐지하면서 기초의원 선거 출마를 계획하던 후보자 상당수가 광역의원 출마로 돌아서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통합신당의 무공천 방안으로 인해 기초의원 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하게 될 경우 당선 가능성이 떨어질 것을 우려해 정당 공천이 이뤄지는 광역의원 선거에 출마해 당선 가능성을 높이겠다는 계산이 배경이 되고 있다.
12일 민주당 도당과 지역정가에 따르면 민주당은 지난 2월부터 경기도의원 공천을 위한 후보자자격심사 신청을 접수 중이다.
도의원 출마를 희망하는 잠재적인 후보자들의 신청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도내 기초의원들의 신청이 두드러지고 있다.
수원시의회에서 의장을 지냈던 강장봉 시의원과 김철진 안산시의원, 박창순 성남시의원 등이 도의원 출마를 위해 자격심사를 신청했다.
지역정가에서는 이번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등 야권의 기존 시의원이나 시의원 출마를 계획했던 인사들의 이같은 도의원 출마 전향이 크게 확산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통합신당의 기초선거 무공천 결정으로 인해 선거기간에 선거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당명을 사용할 수 없는 기초의원 선거보다 당명을 사용하는 도의원 선거가 더 경쟁력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줄을 잇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기존의 민주당 도의원들을 비롯해 도의원 출마를 계획했던 인사들과의 치열한 공천 경쟁이 예상된다.
민주당 도당 관계자는 “기초선거에 대한 공천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아무래도 본선거에서 다른 당 후보에 비해 표를 손해보게 될 것이라는 의견이 곳곳에서 일고 있다”며 “그러다보니 광역의원 선거에 출마와 관련된 문의가 더욱 늘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정진욱기자 panic82@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