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중소기업 대출 줄이고, 대기업 대출 늘려

은행들의 중소기업 대출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은행들의 기업 대출 금액은 총 646조 4천억 원으로 이 중 중소기업 대출 비중은 75.2%(485조 9천억 원)를 기록했다. 이는 7년 전인 2006년과 비교해 급감한 수치다.

2006년 은행권의 중소기업 대출 비중은 91.4%(290조 2천억 원)에 육박했지만, 금융위기 이후인 2009년 84.3%로 줄어든 이후 2010년 82.0%, 2011년 78.2%, 2012년 75.1%, 지난해 75.2%로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다.

반면 대기업 대출은 2006년 8.6%(27조 3000억 원)에서 지난해 24.8%로 크게 확대됐다. 금융위기 여파로 영세 중소기업의 수익성 악화 우려가 높아지자 은행들이 부실 가능성이 큰 중소기업 대출보다는 신용등급이 좋고 담보력이 우수한 대기업 대출에 편중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처럼 은행에서는 중소기업의 대출을 줄이고 있지만, 중소기업의 은행권 의존도는 절대적이다. 지난해 6월 말 기준으로 중소기업의 자금 조달 방법 중 은행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98.8%(474조 2천억 원)에 달한다.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이 이 정도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도 정부의 신용보증 확대 정책의 뒷받침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김광희 중소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공적 신용보증은 만만치 않은 재정 부담으로 돌아올 수 있다”며 “중소기업 대출에 대한 신용위험도를 낮추거나 분산시켜 은행 대출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