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 의료 관광 인프라 확충 시급하다

인천지역의 해외 의료 관광객 유치사업이 미진하다. 외국 환자와 연계한 관광객 유치사업은 정부가 2009년부터 범정부 차원에서 벌여온 유망사업이다. 전국 지자체들도 이에 따라 해외 의료 관광객 유치사업에 경쟁적으로 뛰어들어 사업성과 올리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인천지역은 세계 제일의 서비스 국제공항과 항만을 갖춘 이점에도 불구하고 의료 관광객 유치사업이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뒤지고 있다.

인천의료관광재단에 따르면 지난해 인천지역 각급 병·의원 90곳에서 유치한 외국 환자는 1만여명(추정)이다. 이는 2012년 6천371명보다 36.3%증가한 것으로 진료수익 190억원, 관광수익 63억원 등 254억원의 수익을 올렸다.

그러나 인천과 경쟁 상대인 부산은 이미 2011년에 1만명을 넘었고, 2012년엔 인천의 배를 넘는 1만4천125명, 지난해 역시 인천보다 배가 넘는 2만1천798명을 기록했다. 지난해 증가율도 인천의 36.3%보다 높은 54%의 증가율을 보였다. 또 국가별 유치 인원도 러시아 9천894명, 일본 1천589명, 미국 1천270명으로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의료 관광 최대 시장인 중국인 유치는 2천696명으로 지리적으로 유리한 인천(2천360)보다 많았다.

기반시설도 인천은 지리적으로 불리한 내륙지역을 따르지 못하고 있다. 대구는 이미 의료 관광종합안내센터를 갖췄으며, 올 상반기 중에 메디텔(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호텔)을 준공할 예정이다. 대전도 의료·숙박·쇼핑기능을 한데 모은 메디컬 스트리트를 조성하는 등 공격적인 투자와 활성화에 열중하고 있다.

의료 관광산업은 부가가치와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크다. 정부 목표대로 2020년 해외 의료 관광객을 100만명으로 늘리면 6조원이 넘는 의료 관광 수입이 발생하고 20여만명의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 우리나라가 싱가포르·태국 등 외국에 비해 의료 관광 사업에 뒤늦게 눈떴지만 인천이 입지적 이점을 살려 이들을 추월할 수 있게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의료 관광 활성화를 위해선 의료계의 진취적인 변화와 인천시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 우선 의료계가 스스로 의료의 질을 높이고 병원에도 호텔식 서비스를 도입, 경영을 수요자(환자)위주로 확 바꿔야 한다. 환자 유치를 위한 해외 사무소 설치와 맞춤형 통역 직원과 요리사도 필요하다. 아울러 시 당국은 환자와 가족이 묵을 수 있는 메디텔 건축 등 행정지원은 물론 이들의 눈을 끌 수 있는 관광 상품도 다양하게 개발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