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사고'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제주가 목적지여서 교신 채널을 제주 해상교통관제센터(VTS)에 맞춰뒀다"는 진술이 나왔다.
이에 따라 세월호가 왜 첫 사고 신고를 제주 해상교통관제센터(VTS)에 했는지에 대한 의문을 풀 수 있게 됐다.
침몰 사고 당시 세월호의 교신 채널은 제주 해상교통관제센터(VTS) 채널인 '12번'이었다. 사고를 인지한 후 교신을 맡은 선임급 항해사는 채널을 변경하지 않고 신고했다.
그 뒤 11분이 지난 오전 9시 6분에서야 진도VTS는 세월호에 침몰 사실을 확인했다.
승무원의 안이한 실수로 '골든타임' 11분을 허비한 셈이다.
모든 선박은 특정 VTS 관할 해역에 들어가거나 나갈 때 보고를 하게 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진도 해역은 필수 보고 해역이다.
경력 10년의 1등 항해사인 정모(32)씨는 "진도 해역은 필수 진출입 보고 지역으로 해역을 벗어나기 전까지는 교신 채널을 진도 VTS에 맞춰 놓아야 한다"며 "제주 VTS에 신고가 접수된 것은 승무원의 명백한 실수"라고 주장했다.
이어 "진도 해역은 통항이 많고 위험 항로가 많아 반드시 VTS의 통제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구조 신고 당시 세월호가 일반주파수를 사용하지 않은 점도 문제다.
해상 통신은 일방 통신으로 단거리 근접 통신망(VHF)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주파수인 16번을 제외하면 다른 선박들은 교신 내용을 들을 수 없다.
이에 따라 구조 교신을 할 때는 주변 선박들이 모두 들을 수 있도록 일반주파수 16번을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세월호가 신고 당시 사용한 주파수는 특정 상대에게만 수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예나 기자 yena@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