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된 여객선 운항관리… 섬주민 ‘생필품 대란’

세월호 이후 엄격해진 규정 1인당 수화물 15kg이하 제한 
고박 불가 화물 적재금지 꽃게 등 어획물 수송 차질

세월호 여파로 인천 연안 여객선에 대한 운항 관리가 대폭 강화되자 도서지역 주민들이 생활필수품 조달에 애를 먹는 등 불편을 겪고 있다.

12일 옹진군에 따르면 세월호 사건 이후 해양경찰청 등 항만 당국이 섬지역을 오가는 여객선 이용객이 소지할 수 있는 수화물의 무게를 1인당 15㎏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또 무게와 상관없이 수화물 크기를 가로·세로 각 30㎝ 이하로 규정하고 이를 엄격히 통제하고 있다.

특히 백령항로(하모니플라워호)와 덕적·자월항로(대부해운)의 경우 고박이 불가능한 미 고정 화물 적재를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사실상 선박에 설치된 컨테이너와 같은 별도의 화물적재용 박스를 이용하지 않으면 섬지역 화물 수송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 때문에 섬지역 주민에게 전달될 생수 등 각종 생필품 공급에 차질이 빚어지고 연평도 등에서 잡힌 꽃게 등 어획물의 육지 이동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옹진군은 고육지책으로 백령항로 등에 5t 트럭 2대를 긴급 투입해 주민 생필품과 꽃게 등 화물을 수송하고 있다.

선박 화물칸에 고박이 가능한 트럭 등 차량을 이용해 임시로 화물을 수송하고 있지만, 하루 100만 원에 달하는 운송료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아울러 여객 선사를 대상으로 선박 내부에 적재용 컨테이너 설치를 추진하고 있지만 대부분 선사가 선박 개조에 부정적 태도를 보이고 있어 여의치 않은 상태다.

김정석 백령도 주민자치위원장은 “세월호 사건으로 말미암아 항만 당국이 주민 여건은 고려하지 않은 채 선박 안전운항을 위한 관리를 강화해 섬지역 주민들이 생계마저 위협받고 있다”고 말했다.

옹진군 관계자는 “급한 대로 화물트럭을 이용해 화물을 실어나르고 있지만, 언제까지 지속할 순 없는 일”이라며 “장기적으로는 연안여객선 준공영제를 도입해 세월호와 같은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정부의 각별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옹진군에는 7개 선사가 8개 항로에 14척의 여객선을 운항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만 178만 2천 명의 여객을 수송했다.

배인성기자 isb@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