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수사대 전담요원 고작 2명 압수품 등 분석 2개월째 ‘하세월’
CJ 대한통운과 아주그룹 현직 간부들의 불법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경찰 수사가 압수품 분석조차 하지 못한 채 수개월째 제자리걸음이다.
이 때문에 경찰 안팎에선 16일 앞으로 다가온 6·4 지방선거 선거 사범에 대한 수사마저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8일 인천 중부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CJ 대한통운 측이 아주그룹 내 정규직 임·직원 1천400여 명에 대한 개인정보를 빼낸 혐의를 포착하고 인천지사를 압수수색해 노트북 3대와 외장 하드 2대를 확보, 인천지방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 복원·분석을 의뢰했다.
그러나 2개월여가 지나도록 압수품에 대한 분석작업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사실상 수사가 멈춰 섰다.
중부서는 당초 압수품에서 일부 데이터가 삭제된 흔적을 발견, 복원·분석작업이 끝나는 대로 관련자를 상대로 증거인멸 혐의는 물론 추가 개인정보 유출 부분 등 수사를 확대할 계획이었다.
앞서 중부서는 ‘CJ 대한통운 측이 아주그룹 이외에도 추가로 관공서 내부 자료도 빼내려 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특히 중부서 수사팀은 이번 사건을 6·4 지방선거 전까지 신속히 마무리한 뒤 선거사범 적발 등에 수사력을 모을 계획이었지만, 사건이 장기화되면서 차질을 빚고 있다.
이와 관련, 인천지방청 사이버수사대 관계자는 “일선 경찰서에서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 전자 증거물에 대한 복원 작업 의뢰가 폭주하고 있지만, 전담요원은 고작 2명뿐이라 힘에 부친다. 현재 80여 건이 밀려 있다”면서 “이른 시일 내 압수품 분석을 마무리해 넘기겠다”고 말했다.
중부서 관계자는 “인력 배분을 선거 전담반 위주로 전환했다. 선거사범 수사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신동민기자 sdm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