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기 파주시장은
재선에 도전하는 새정치민주연합 이인재 후보가 새누리당 이재홍 후보와 접전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30ㆍ40대는 이인재 후보가 앞서고 20ㆍ50대에선 이재홍 후보가 우세를 보이면서 37.9%인 부동층 표심과 연령대별 투표율에 따라 최종 승자가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성별에 따라 남성의 경우, 이인재 후보가 0.3%p의 근소한 차로 앞선 반면 여성에선 이인재 후보 29.5%, 이재홍 후보 21.7%였다.
연령에 따라서 지지후보가 극명하게 엇갈렸다.
40대에선 이인재 후보가 38.4%로 이재홍 후보(21.5%)를 제쳤으며 특히 30대에선 이인재 후보의 지지율이 50.7%에 달했다. 이재홍 후보는 6.1%에 불과했다.
반면 50대 응답층에서는 이재홍 후보가 42.0%로 이인재 후보(20.4%)를 21.6%p차로 앞섰다. 또 20대에서도 이재홍 후보 23.4%, 이인재 후보 16.1%였다.
지역별로 파주갑 선거구에선 이인재 후보가 32.8%로 이재홍 후보(26.1%)를 오차범위 넘는 6.7%p차로 이기고 있다. 하지만 파주을 선거구에선 이재홍 후보 29.7%, 이인재 후보 27.8%로 초박빙 판세를 보였다.
이런 가운데 투표 의사가 있는 응답자에선 이인재 후보 34.4%, 이재홍 후보 26.7%였다. 또 지지정당이 없는 응답자 분석 결과, 이인재 후보가 21.0%로 이재홍 후보(8.2%)를 다소 큰 차로 앞서고 있다.
30ㆍ40대 이인재 선호, 20ㆍ50대는 이재홍 우세
경기지사 지지도 남경필 36.4%-김진표 26.2%
■ 후보 선택은
파주시 유권자들은 후보 선택 기준으로 업무 수행능력과 공약ㆍ정책, 소속정당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 수행능력이 28.0%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공약ㆍ정책이 22.8%, 소속정당 20.8% 순이었다. 또한 도덕성은 12.8%, 지역내 인물평판은 8.0%로 집계됐다.
연령별로는 20대의 경우 공약ㆍ정책과 업무 수행능력이 각각 33.2%, 28.8%씩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30대 역시 각각 30.6%, 27.4%로 조사됐다. 40대와 50대에서는 업무 수행능력이라는 답변이 각각 27.4%, 28.4%로 가장 많았다.
아울러 부동층과 무당층의 경우 업무 수행능력이라는 답변이 각각 30.7%, 32.2%로 가장 많았다.
■ 경기도지사 파주 판세
파주시에서는 새누리당 남경필 후보가 36.4%로 새정치민주연합 김진표 후보(26.2%)와 통합진보당 백현종 후보(4.2%)를 각각 10.2%p, 32.2%p 차이로 앞섰다.
특히 남 후보는 20대와 50대 이상에서 김 후보에 비해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남 후보의 연령대별 지지율은 △20대 23.4% △30대 16.3% △40대 31.7% △50대 이상 56.5%로 나타났다.
김 후보는 20대와 50대 이상에서 각각 16.8%, 14.9%였다. 반면 30~40대에선 김 후보가 각각 42.1%, 36.9%로 남 후보를 앞서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갑선거구에서 남 후보가 36.2%로 김 후보(30.0%)를 6.2%p 차이로 앞섰다. 을선거구에서도 남 후보 36.6%, 김 후보 22.3%였다.
부동층의 경우 남 후보가 21.2%로 김 후보(11.6%) 보다 높은 지지율을 보였다.
무당층 응답자의 경우 남 후보가 20.6%로 김 후보(20.5%) 보다 높았지만 0.1%p 차이에 그쳤다.
■ 차기 시장의 우선 해결 과제는
파주시에서는 차기 시장이 해결해야 할 가장 주요한 현안으로 일자리 창출을 선택한 응답자가 20.4%로 가장 많은 가운데 교통 및 주차문제를 선택한 응답자가 20.1%에 달했다. 이어 교육문제가 11.1%로 나타났다.
주택 재건축 및 재개발 9.7%, 부동산 등 자산가치 하락 8.8%, 청소년 및 노인복지시설 8.4%, 문화 및 상업 관광시설 확충 8.0%, 방범ㆍ치안과 안전문제 5.2% 순이었다.
김동식ㆍ송우일기자 swi0906@kyeonggi.com
여론조사
조사기관 : 한길리서치
조사일시 : 21일 오전 10시~밤 10시
조사대상 : 지역별 500명
응답률 : 용인 14.0%, 파주 18.4%
표본오차 : 신뢰수준 95%에 ± 4.4%p
여론조사와 관련한 구체적인 조사 기법이나 표본 특성 등 상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