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장 선거전이 열기를 더해 가고 있다. 선거전이 중반을 지나면서 단순히 과열만 되는 것이 아니라 후보 간 상호 비방전으로 번져 유권자들을 실망시키고 있다. 이번 6·4지방선거는 세월호 참사 여파로 역대 어느 선거 때보다도 조용한 가운데 시작됐다. 각 당이 떠들썩한 유세를 자제하고 후보자들도 언행을 조심하며 탐색전을 벌였다. 그러나 그런 분위기는 오래 가지 못했다.
새누리당 유정복 후보와 새정치연합 송영길 후보는 대형 참사의 사회적 분위기를 의식, 한땐 상호 공약 공방을 벌이는 듯 하드니 그것도 잠시였다. 유·송 두 후보는 유권자들의 선택 기준이 될 정책 대결은 뒤로 미룬 채 과거사를 들먹이며 상대 후보를 비방하는 네거티브 선거로 빠져들고 있다. 이러다가 혼탁선거가 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없지 않다.
세월호 참사의 실종자 구조가 아직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의 비방전은 사회 분위기를 거스를 뿐 어느 후보에게도 득이 될 수 없다. 오히려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 후유증이 심화되기 전에 후보들 스스로가 이런 분위기를 바로 잡아야 한다. 그리고 각자의 공약을 적극적으로 알려 그동안 유권자들에 미진했던 선택의 판단 기준을 제공해야 한다.
유권자들도 대형 참사의 충격에서 벗어나 후보들의 공약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인천시의 살림을 4년 간 꾸려갈 일꾼을 제대로 뽑기 위해 후보들이 내건 공약들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어느 후보의 공약이 인천시의 살림을 건실하게 하고 지역발전에 도움이 될 것인지 비교하고, 무책임한 공약 남발은 없는지 옥석을 가리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무리 저울질해도 후보들의 공약만으론 선택의 판단 기준이 제대로 서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누구를 선택할 것인가 망설이다가 귀중한 투표권 행사 기회를 잃거나 포기해선 안 된다. 그렇다면 공약 이외에 시장을 뽑는 기준은 무엇인가. 공개된 병역·납세·전과기록 등 신상 자료를 참고하는 동시에 후보들의 경륜과 인품 등을 종합해보면 누가 더 인천시의 살림을 알차게 운영할지 판단이 설 것이다.
인품을 가늠할 시장 후보의 덕목은 높은 수준의 도덕성·흔들림 없는 신뢰성·이기심에서 벗어난 공익성, 그리고 다양한 주장을 포용하는 조화성이다. 유권자들은 이 같은 기준을 염두에 두고 민주양식과 이성적 판단에 따라 선택해야 한다. 이제 선택의 날은 6일 남았다. 투표일에 임박해서 서둘다가 그르치기보다 지금부터 여유 있게 검증, 선택할 사람을 마음속에 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