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공직사회의 선거 후유증이 걱정스럽다. 지난 6·4 지방선거에서 광역단체장인 인천시장을 비롯해 관내 10명의 기초단체장 중 5명이 교체돼 대대적인 인사태풍이 휘몰아칠 것으로 전망되면서 공직사회가 술렁이고 있다. 게다가 단체장이 바뀔 지자체 공무원들이 당선자의 시정(施政)철학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지연·학연 등 인맥을 귀동냥하며 당선자의 눈치를 보는 등 사실상 일손을 놓고 있어 행정공백이 우려되고 있다.
이번 선거에서 인천지역 10개 기초단체 중 남구·중구·부평·계양·옹진군 등 5곳의 단체장은 재선됐으나 인천광역시를 포함 동구·서구·남동구·강화군·연수구 등 6곳의 단체장은 다음달 1일 교체된다. 특히 교체될 6곳 중 강화군을 제외한 인천시 등 5곳은 야당에서 여당 소속 단체장으로 바뀐다.
선거가 과열된 지자체일수록 당선자에게 협조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살생부 명단이 나돌고, 반대로 논공행상·줄서기에 따른 특혜인사 우려가 벌써부터 제기되고 있다. 단체장이 바뀔 지자체에선 현직 단체장 측근으로 분류된 고위 공직자들이 일손을 놓고 있는 상태고, 그 외 간부들과 하위직 공무원들도 업무를 제쳐둔 채 인사정보 파악에 매달리고 새로운 연줄 만들기에 여념이 없다. 위 아래 가릴 것 없이 당선자 눈치 보기와 근무태만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특히 강화군 공직사회의 분열 양상이 심각하다. 새누리당 공천을 신청했던 이상복 당선자와 유천호 현 군수의 경선 과열과 자격논란 등으로 강화군이 무공천 지역으로 되자 두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하면서 특정 후보를 지지한 공무원들이 두 쪽으로 갈라졌다. 공무원들이 제자리를 지키지 못해 두 편으로 갈린 공직사회가 앞으로 어떻게 봉합·수습될지 주목된다. 이런 상황에서 장석현 남동구청장 당선자(새)가 선거 직후 보복인사를 하지 않겠다고 공언하고, 사회갈등 치유에 전력할 것을 강조해 돋보이고 있다.
공직자들의 마음이 딴 곳에 가있으면 행정이 제대로 될 리 없다. 지자체 공무원은 지역민의 공복으로 주민 전체에 봉사하고 책임지는 본분에 충실해야 한다. 단체장 교체를 앞두고 이쪽저쪽 눈치나 보며 적당주의로 시간을 보내선 안 된다. 당선자들 또한 업무 인수 과정에서 유능하고 성실한 공직자들이 안심하고 일할 수 있게 분위기를 추스르는 데 힘써야 한다. 단체장 교체기의 어수선한 상황에서 고질적 행정공백이 없도록 세심한 노력이 필요하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