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우 아우르는 ‘통합 리더십’으로 소통해야”

[인천 첫 진보교육감 시대 혁신교육 실현 과제는] 3. 진보-보수 조화 ‘소통의 리더십’

이청연 인천시교육감의 취임은 인천교육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이 분명하다. 진보 교육감으로서 인천시민과 약속한 혁신학교 운영 등 새로운 교육 정책은 보수 교육감 체제에서 지난 12년 세월을 보낸 인천교육 전반을 뒤흔들 정도로 거대하다.

이 같은 변화의 물결 속에 가장 우려되는 점은 반대세력의 등장이다. 급격한 변화 속에 손해를 입거나 새로운 체제에 편승하지 못한 교육 관련 시민사회단체와 일선 학교의 불만은 만만치 않을 것이고, 이는 곧 이 교육감이 추진하는 교육 혁신에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다.

이 교육감과 행복교육 준비위원회(인수위)는 그동안 시교육청의 재정 부족을 해결하고자 불필요한 기존 교육 사업을 통·폐합하겠다는 입장을 강조해왔다.

그러나 기존 교육 사업의 통·폐합은 자칫 일선 학교의 불만을 가져올 소지가 크다. 교육 사업 통·폐합 여부에 따라 관련된 일부 학교에 지원되는 예산 변동은 불가피하고, 이는 다른 학교와 형평성 문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이 교육감의 역점사업들도 일부 교육 관련 시민사회단체의 반발에 부딪힐 수 있다. 특히 공교육살리기학부모연합은 이 교육감의 혁신학교 운영에 강한 우려감을 표하고 있다. 성과가 아직 불확실한 혁신학교를 시범운영 없이 도입한다는 것에 반대한다는 주장이다.

김현실 공교육살리기학부모연합 인천대표는 “교육의 수요자는 학생과 학부모이지, 교육감이 아니다”며 “공약에 맞추려고 혁신학교를 우후죽순 만들었다가는 혁신학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학생과 학부모의 혼란을 가져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1~2개교의 혁신학교를 시범 운영해 장·단점을 명확히 분석하는 등 여러 준비 과정을 선행한 뒤 천천히 혁신학교를 늘려가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밖에 현안으로 떠오른 전교조 법외노조 문제를 두고 이 교육감과 교총이 갈등을 겪을 수도 있다. 이미 교총은 교육감이 교육부의 지시를 어겨가면서까지 전교조를 보호하려 한다면 교육감에 대한 불복종 운동을 벌이겠다고 공헌한 바 있다.

지역교육계에서는 새로운 교육 혁신 정책에 따른 반대세력의 불만을 막으려면 정책을 추진하기 전에 충분한 논의와 양해를 구해야 하고, 인천교육 발전을 최우선 과제로 삼는 동시에 진보와 보수를 아우를 수 있는 강한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김호 경인교대 교수는 “진보와 보수를 떠나 학생들이 만족할 수 있는 교육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인천교육을 위한 가장 현명한 방법”이라며 “편 가르기 식의 정책 추진을 피하는 동시에 대화와 타협을 통해 양보할 수 있는 부분은 양보하고, 함께 나아갈 수 있는 교육 정책은 힘을 합치는 등 강한 리더십을 발휘해야 인천교육을 발전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suein8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