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통해 취업도움 광고 청소년 상담사 장삿속 기승 없는 돈 털어 자격증 취득 실제 취업때 무용지물 한숨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자격증(폭력상담사)일 줄은 꿈에도 몰랐습니다.”
취업준비생 A씨(24·여·인천시 남동구)는 최근 인터넷에서 40만 원의 취득 과정 비용을 내고 딴 B 상담협회의 청소년 폭력상담사 자격증만 보면 한숨이 절로 나온다.
학교 폭력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르면서 청소년 폭력상담사 자격증만 따면 공공기관은 물론 청소년 관련 민간기관에도 손쉽게 취업할 수 있다는 B 상담협회의 인터넷 광고를 믿고 자격증을 땄지만, 전혀 공인되지 않은 자격증으로 실제 취업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A씨는 “취업의 당락을 좌우할만한 자격증은 아니더라도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줄 알았는데, 속았다”며 “전혀 공인되지 않은 엉터리 자격증일 것이라고는 상상도 못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늦깎이 취업준비생 C씨(31·여·인천 연수구)도 지난달 인터넷으로 D 상담학회의 비공인 청소년 상담 자격증을 땄다가 마찬가지로 취업에 도움이 되지 않아 낭패를 봤다.
C씨는 “짜증을 넘어 화가 난다”며 “학교나 청소년 관련 기관에서 학생을 상담하는 일이 꿈이라서 자격증을 땄는데, 아무런 소용이 없으니 돈만 날린 셈이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학교 폭력과 관련해 공인되지 않은 청소년 상담 자격증 홍보가 인터넷상에서 극성을 부리고 있어 소비자의 피해가 우려된다.
현재 국가에서 공인된 청소년 상담 관련 자격증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 상담사’ 자격증 하나이며, 추가로 인정된 민간 자격증도 ㈔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 3급 이상,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2급 등 모두 3개에 불과하다.
그러나 인터넷에는 공인 자격증 외에 ‘청소년 폭력상담사’, ‘심리상담사’ 등 전혀 공인되지 않은 자격증(121개)에 대한 홍보가 판을 치고 있으며, 취득 과정 비용만 최소 30만 원에서 60만 원에 이른다.
또 일부 비공인 자격증 홍보 시 자격증만 취득하면 일선 학교 상담교사가 될 수 있다는 허위광고까지 만연하고 있다.
인천소비자보호센터 관계자는 “각종 민간 자격증의 허위광고로 인한 피해 상담이 끊이지 않고 있다”며 “자격증의 신뢰도 여부를 미리 알아보고 등록하는 등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suein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