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高스펙=업무능력? 키워보니 ‘인성’이 더 좌우!

인사담당자 78.7% “상관관계 없다”

구직자에게 학벌이나 학점 등 스펙보다는 인성과 성실성, 책임감 등이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사담당자 10명 중 8명은 학벌, 학점, 어학능력 등을 완벽하게 갖춘 ‘고스펙’이 업무능력과 큰 상관관계가 없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5일 취업포털 커리어가 인사담당자 2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8.7%가 ‘고스펙과 업무능력의 상관관계가 없다’고 답했다.

고스펙 소지자가 업무능력이 뛰어나지 못한 이유는 ‘회사에 대한 충성도ㆍ애사심이 부족해서(41.4%)’를 꼽았다. 이어 ‘조직 적응력이 부족해서(34.5%)’,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부족해서(13.8%)’, ‘인성이 부족해서(10.3%) ’ 등을 답했다.

반면 고스펙 소지자가 업무능력이 뛰어난 이유로는 ‘전공지식이 풍부해서(52.7%)’, ‘다양한 경험이 갖춰져 있어서(27.3%)’, ‘어학능력이 뛰어나서(10.9%)’ 등이었다.

인사담당자들은 기본적 업무능력을 갖추기 위한 중요한 자질(복수응답)로 ‘인성ㆍ성실성ㆍ책임감(58.1%)’을 1순위로 꼽았다. 다음으로 ‘커뮤니케이션 능력(47.3%)’, ‘상황판단능력(46.5%)’, ‘열정ㆍ행동력’ (34.9%), ‘창의적 사고능력’ (25.6%), ‘글로벌능력’ (7.0%) 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업무성과와 상관성이 높은 스펙(복수응답)으로는 ‘인턴ㆍ아르바이트 경력’을 45%로 가장 많이 꼽았고, ‘전공지식(41.9%)’, ‘대외활동 경력(34.5%)’, ‘공모전 수상경력(19.4%)’ 등이었다.

한편, 신입직 채용 후 만족할 만한 업무성과가 나오기까지 걸리는 기간은 평균 10.5개월로 집계됐다. 세부적으로는 ‘9개월~12개월 이내’가 (29.8%)로 가장 많았으며 ‘6개월~9개월’ (20.9%), ‘3개월~6개월’ (17.8%) 순이었다. ‘2년 이상’ 걸린다는 응답도 (7.1%)를 차지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