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수원문화원ㆍ시청사’ 국가문화재 지정

건축기법 우수해 가치 인정

수원시의 근대문화유산인 ‘구 수원시청사’와 ‘구수원문화원’이 국가문화재로 지정 등록됐다.

시는 지난 3월 문화재청의 현지조사와 4월 문화재위원회의 심의, 5월 등록 예고 등의 과정을 거쳐 지난 1일 구 수원시청사와 구 수원문화원이 국가문화재로 지정 등록됐다고 16일 밝혔다.

‘구 수원문화원’은 2006년 수원시향토유적 제18호로 지정되어 현재 수원시 가족여성회관 교육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제강점기 금융회사인 조선중앙무진회사 사옥으로 건립된 벽돌조 2층 건물로 규모는 작지만 장식적 요소가 많고 건축 기법이 우수한 건물로 가치를 인정받았다.

‘구 수원시청사’는 1956년 7월 26일 준공되어 1987년까지 수원시청사로, 이후 2007년까지 권선구청사로 사용하다가 현재 수원시 가족여성회관 본관 건물로 사용하고 있다. 한국전쟁 이후 우리나라 모더니즘 건축이 시작되는 시기에 건립된 관공서 건물로 서양의 기능주의 건축에 영향을 받은 한국 근대 건축의 경향을 잘 보여주고 있는 건물이다.

앞서 시는 근대문화유산의 역사적 가치에 대한 고증과 조사를 벌여 수원시가족여성회관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 수원시청사’와 ‘구 수원문화원’에 대한 등록문화재 지정을 신청한 바 있다.

이번 등록에 따라 관내에는 경기도기념물 제175호로 2001년 지정되어 있는 ‘아담스기념관’ 외에 국가지정 등록문화재 제597호 ‘구 수원문화원’, 제598호 ‘구 수원시청사’의 근대문화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시 관계자는 “이번 국가문화재 지정 등록으로 근대문화유산의 첫 국가지정과 함께 국가지정문화재 17건, 경기도지정문화재 31건, 수원시 향토유적 23건 등 71건의 문화재를 보유하게 됐다”며 “역사문화 도시에 걸맞게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과 더불어 전통과 근대의 다양한 문화 자원을 통해 시민들의 문화수준과 자긍심을 한 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지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